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위치기반 AR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활용 가능성

Possibility of using location-based AR interactive content : Focusing on the case of Hanyang Dosung

  • 261
161157.jpg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위치 기반 AR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활용 사례를 기반으로 융합형 문화예술콘텐츠의 결합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AR 기술적 발전을 현재도 진화되고 있기 때문에 융합적 결합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실증적인 연구는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향후 융합관광콘텐츠로 미래지향적 대안적 사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AR 기반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한양도성의 혜화문을 이미지 매칭 기반 AR 기술을 활용하여 GPS 기반으로 혜화문을 탐방하여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사례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융합적 접근 내용을 기술하였다. 결과: 한양도성을 바탕으로 한 AR 기반 융합형 문화예술콘텐츠를 결과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콘텐츠로 구현하였다. GPS 기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지점에서 대상을 판단할 수 있는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대상성을 사용자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현실과 가상의 세계가 사용자에 의하여 실제 공간 속에서 역사적 대상의 시간성을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로 구현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역사적 장소와 대상을 단순히 바라보는 탐방 유형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통하여 대상을 역사를 새롭게 인식하고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를 통하여 향후 융합형 문화예술콘텐츠의 차별화된 시도로 제시하고자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convergence-typ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based on the use cases of location-based AR interactive contents. As AR technology is still evolving, empirical research is continuously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vergence method.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it as a future-oriented alternative case as a future convergence tourism content. Methods: The Hyehwamun of Hanyang Doseong was implemented to explore and experience Hyehwamun based on GPS using image matching-based AR technology. In this paper, the contents of the convergence approach are described so that it can be practically implemented through such cases. Results: AR-based cultural and artistic convergence contents on Hanyang Doseong were implemented as concrete contents that can be experienced as a resul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think about objectivity through image recognition that can recognize a GPS-based location and can determine an object at a selected point. The real and virtual worlds are implemented as content that allows users to experience the temporality of historical objects in real space.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esent a differentiated attempt for future convergence-typ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through contents that can newly recognize and sympathize with the history of objects through the user s experience in the type of exploration that simply looks at historical places and objects.

1. 서론

2. 이론적 고찰과 기술적 접근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 AR 기반 융합형 문화예술콘텐츠 <혜화문> 구현

5.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