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龍崗秦簡 第11~22簡, 第68簡, 第181簡의 내용에 대해 해독을 시도하였다. 이 14매의 죽간이 담고 있는 대략의 내용은 禁苑과 관련한 秦법률인 秦苑律에 대한 기록이다. 秦苑律은 상당히 엄격하게 시행되었는데 금원의 출입과 관련하여 위법 행위를 한 자는 무거운 형벌에 처해졌음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해독 작업을 통해 秦代 사회와 법률, 언어와 문자에 대해 한층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고는 龍崗秦簡 第11~22簡·68簡·181簡의 기존 연구에 충분한 예증을 찾아 보충하거나 誤釋 부분에 대해서는 정정 의견을 제시하는 등, 기존 연구 성과를 토대로 문자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보다 심도있는 고찰을 진행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the contents of Longgang Qin Bamboo Strips 11 to 22, 68, and 181. These 14 bamboo strips contain records of QínYuànlǜ (秦苑律), the Qin dynasty law regarding palace gardens. It was found that the law was strictly enforced, punishing those who violated the law in relation to entering the palace gardens with severe sentences.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se bamboo strips opened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society, law, language, and scripts of the Qín Dynasty. This study also offers more in-depth insights into Longgang Qin Bamboo Strips 11 to 22, 68, and 181 using an approach in the study of letter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findings, supplementing the previous studies on these bamboo strips with new proofs and correcting errors in interpretation. Furthermore, give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new Qin character documents are constantly unearth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by continuous annotation work and studies on the whole of Longgang Qin Bamboo Strip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第11~22簡, 第68簡, 第181簡의 해독과 연구
3. 나가는 말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9)
- 中國學 第77輯 목차
- 건국기념 헌정영화의 새로운 서사전략
- 잃어버린 시간에 대한 성찰
- 金庸 무협소설에 나타난 민족관에 관한 고찰
- 『龍崗秦簡』 第11~22簡, 第68簡, 第181簡 연구
- 『삼국연의』 콘텐츠의 수용과 재해석
- 샤오헤이(小黑)의 『여정의 종결(結束的旅程)』 연구
- 动词“与”的语义演变考察
- 拜登政府对华战略的持续与变化
- 记忆与身份认同的文学演示
- 파라과이 중국계 이민자의 이주 현황과 문화적응 유형
- ‘-더-’와 ‘来着’의 상적 특징과 양태성에 관한 연구
- 新HSK 2·3급 기출문제 분석과 그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명태의 이명(異名) 고찰
- ‘어변성룡’형 충자도의 주제 해석 연구
- 论魁北克华人的“草根”写作
- 비대면환경에서의 학습자중심 영상번역수업 사례 연구
-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會’의 의미 분석
- 中國革命派報刊對“安重根義舉”的報道
- 『華東正音通釋韻考』와 『三韻聲彙』의 東音 體系 比較 硏究
- 鄭玄 『箋』의 美刺論小考
- 中国对其他金砖国家跨境电商出口贸易的影响因素研究
- 중국 불학원의 설립·운영 현황과 학제 구성의 특징에 대한 고찰
- 코퍼스를 활용한 중국어 시각 동사 ‘看’의 원형 의미 연구 방법 및 사용범위 연구
- 플랫폼으로서의 중국어교재 설계와 이용방안
- 漢-알타이諸語 비교로 본 ‘바다(海)’의 語源
- ‘来/去’ 구문의 문법화 양상 연구
- 새로운 공동체 의식 속 현대적 동아시아 사유 체계의 가능성
- 冷戰時期泰國華文文學與香港因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