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장소에 방문한다는 것은 부정적 감정보다 긍정적 감정을 유발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새로운 장소에 방문했을 때의 유발되는 감정이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매개변수가 노스탤지어와 희소성이라 예측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가격의 영향력을 통제하고자 가격을 고가격과 저가격으로, 장소를 새로운 장소와 익숙한 장소로 구분하여 응답자의 감정 및 충동구매 의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1996년~2010년에 태어난 Z세대 중 총 200여 명의 실험 참가자들을 모집한 후 불성실한 답변을 제거하고 총 190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여행지에서는 비여행지보다 긍정적인 감정이 형성되어 충동구매 성향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여행지에서는 비여행지보다 노스탤지어와 희소성의 심리적 기제가 형성되어 충동구매 성향을 높이게 될 것이라 확인하였지만, 노스탤지어와 희소성이 감정을 매개하여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Visiting unfamiliar places tends to provoke positive rather than negative emotion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emotion consumers may have when they visit unfamiliar places affect their impulsive purchases and to conduct an experiment predicting that the mediation variables that can explain the mutual relationship are nostalgia and scarcity. It measured the emotion and impulse purchase intention of respondents after dividing product prices into high and low ones in order to control their influence and places into unfamiliar and familiar ones. A total of 200 experimental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from among Generation Z youths born between 1996 and 2010, and a total of 190 ones, excluding those who left insincere answe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have confirmed that people have positive emotions in unfamiliar places, not familiar ones, showing the high degree of impulse purchase propensity.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impulsive purchase propensity would increase due to the formation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nostalgia and scarcity in unfamiliar places, compared to familiar ones, but that the two factors had no effect on impulse purchases by mediating emo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posed.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