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194.jpg
KCI등재 학술저널

업사이클링 패션의 조형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Fashion: Focusing on the Deconstructive Perspective

  • 668

현대 사회의 대량생산 및 소비체계로 인해 환경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에 주목하게 되면서 패션산업에서도 국내외 다양한 브랜드에서 업사이클링 패션을 선보이고 있다. 현대 업사이클링 패션은 단순히 환경적 의미를 넘어서 프린팅, 패턴의 변화, 레이어드 등 다양한 표현 방식을 통해 조형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패션이 대중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2010년부터 현재까지의 국내외 업사이클링 패션을 중심으로 해체주의 이론에 기반한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조형적 특성은 ‘소재의 변형을 통한 의미의 해체’, ‘구성의 탈피를 통한 형태의 해체’, ‘이미지의 차용을 통한 경계의 해체’로 분류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의 변형을 통한 의미의 해체’에서는 패션이 지닌 환경 및 소재에 대한 의미를 가시적으로 드러내고 소재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해 이질적인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실험성과 우연성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구성의 탈피를 통한 형태의 해체’에서는 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해 장식 요소의 활용, 의도적 과장 등 비정형적 형태를 강조한 유희적 표현이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의 차용을 통한 경계의 해체’에서는 희소성과 해학성을 지닌 이미지의 차용을 통해 예술성이 강조되고, 시대와 문화의 경계를 허무는 이미지와 형태의 조합을 통해 모호성이 드러났다.

As s sustainability in terms of environment and economy is increasingly drawing attention due to the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system of contemporary society,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brands in the fashion industry are also introducing upcycling fashion. Contemporary upcycling fashion is advancing beyond simple environmental meaning, show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various modes of expression such as printing, pattern change, and layering.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fashion based on the theory of deconstruction by investigating upcycling fashion at home and abroad until now since 2010 when upcycling fashion first became popular.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upcycling fashion at home and abroad based on three categories of deconstruction perspective— de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material transformation,’ deconstruction of form through deviation from composition,’ and deconstruction of boundaries through image borrowing’—the following mode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 in the category of ‘de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material transformation,’ it was found that upcycling fashion achieve the effect of experimentation and chance by using disparate materials, visually revealing the meaning of environment and materials contained in fashion and breaking away from fixed ideas about materials. Second, in the category of ‘deconstruction of form through deviation from composition,’ it was found that upcycling fashion show playful expressions that emphasize atypical form such as the use of decorative elements and intentional exaggeration, breaking away from fixed ideas about composition. Third, in the category of ‘deconstruction of boundaries through image borrowing,’ it was found that upcycling fashion emphasize artistry by borrowing rare and humorous images, and display ambiguity by combining images and forms that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eras and cultures.

Ⅰ. 서론

Ⅱ. 업사이클링

Ⅲ. 해체주의의 개념 및 특성

Ⅳ. 현대 업사이클링 패션의 조형적 특성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