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189.jpg
KCI등재 학술저널

임진전쟁과 일상, 기록 그리고 텍스트 검토

Exploring the Imjin War, Examining Daily Life and Records

  • 40

임진전쟁을 기록으로 남긴 자료를 비교 검토하여 일상에 관한 기술 자세를 확인했다. 대상 자료 실록, 일기, 고문서를 순차적으로 검토했다. 고문서는 현장에서 동시에 작성한 기록이라는 특징을 가지면서 전쟁으로 인한 기근, 실농, 유리걸식 그리고 당황과 애통의 감정을 담았다. 이는 전쟁의 일상이었다. 그리고 전쟁 중 일상을 기록한 일기는 주변의 관찰, 소문과 확인 그리고 직·간접적인 경험을 담고 있다. 일기는 외부 세력에 의한 일상의 파괴를 수록하면서 이 또한 일상으로 받아들이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었다. 실록은 전쟁 후 17세기 초의 관점에서 ‘임진왜란’으로 평가하면서 왜군에 의해 발생한 극한의 상황과 파괴된 정치와 도덕을 수록했다. 이는 통치와 교훈의 관점에서 서술하면서 사회질서의 혼란을 일상의 파괴로 평가하는 관점이다. 고문서, 일기, 실록은 1592(선조 25)~1598년(선조 31) 사건에 대한 기술 자세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일상을 기록한 사료의 층위를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documents left a record of the Imjin War. It is compared and reviewed to confirm the attitude toward daily life. The subject data annals of Choson Dynasty, diaries, and historical documents -sales contracts- are reviewed sequentiall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historical document is characterized as a record written at the same time on the spot, and contains feelings of famine followed by spoiled farming and begging around, and embarrassment and sorrow caused by the war. This is the daily life of the war actually. And the diary, a record during the war, contains observations, rumors and confirmations around it, and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The diary contained daily destruction by external forces and maintained a posture to accept this as daily life.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in the Imjin War evaluated it as the ‘Japanese Invas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arly 17th century after the war. This kind of expression contained the extreme situation caused by the Japanese army, destroyed politics, and morality. This was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ance and lessons, looking at daily life as a confusion of social order. As such, historical documents, diaries, and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show different attitude toward the Imjin War. It represents the stance of the describing and recording the 1592-1598 incident of the Choson Dynasty, and shows the texture of historical records

Ⅰ. 머리말

Ⅱ. 실록, 통치 교훈과 ‘임진왜란’

Ⅲ. 일기, 소문과 경험 그리고 기록

Ⅳ. 고문서, 현장 기록과 감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