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생애사문학과 기록영화에 나타난 도시개발과 불공정한 도시경험
Urban Development and Unfair Urban Experiences in Family Life History Literature and Documentary Film: Focusing on the works of Park, Wan-seo, Jo, Kyung-ran and Kang Yu, Ga-ram
이 글에서는 박완서, 조경란, 강유가람의 소설과 다큐멘터리 영화를 중심으로 197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한국문학에서 집과 가족의 이야기가 어떻게 생성되었는지에 주목하였다. 이들 작품은 자전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1970년대 이후 서울의 강북과 강남, 중심과 주변, 산동네와 전통시장, 아파트와 다가구 주택 등이 도시개발과정에서 어떻게 변모하였는지 그 과정에 투영되었던 사람들의 욕망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었는지 보여주고 있다. 박완서가 비판적으로 그리고 있는 도시 중산층의 가족주의는 ‘핵가족 가족주의’로서 박완서 소설의 주인공들이 ‘가족피로’와 계층적 불안 속에서도 ‘가족 개인’의 범주를 끝내 넘어서지는 못했다면 조경란의 「나는 봉천동에 산다」에는 이와 달리 가족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한편 강유가람의 다큐멘터리에 등장하는 부모는 1970, 80년대 박완서 소설의 젊은 부부를 연상하게 한다. 박완서 소설의 개발주의 가족이 언제 도달할지 모를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재를 희생하는 ‘잔혹한 낙관주의’자들이었음을 고려할 때 이 작품의 의미는 새롭게 다가온다. 조경란과 강유가람은 개발주의 시대의 젊은 부부가 30년 후 자신들이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한 미래가족을 그들 자녀의 시점에서 재구성하였기 때문이다. 아파트 1세대의 핵가족을 그리고 있는 박완서의 작품과 서울이주민 2세대 혹은 아파트 거주 중산층 2세대의 시선을 초점으로 하고 있는 조경란, 강유가람의 작품은 서로 다르지만 유사한 결론에 도달한다. 그것은 ‘가족 개인’의 한계를 넘어서야 한다는 것이다. 조경란의 봉천동 가족은 끝내 중산층 진입에는 실패하였지만 도시이주과정에서 겪은 불공정한 도시경험을 바탕으로 외부가족과 타인의 삶으로 관심을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강유가람의 주인공은 자신들이 중산층에 진입했다고 생각한 이후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가족이 지나치게 많은 것을 희생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리고 결국 중산층, 혹은 강남 아파트라는 것은 담론적 구성물에 불과한 것이었음을 깨닫게 된다. 이들 작가는 부모세대와 집, 자신의 삶을 성찰하면서 개발주의 시대의 ‘가족 개인’이 그 존재 근거가 사라지고 없는 상황에서도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살아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부모세대에게 짐이 되었을 ‘가족 개인’이 ‘개인들의 가족’ 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은 현재 그 자체에 주목하는 또 다른 삶의 태도로 볼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d on how houses and families are created in Korean literature from 1970s to 2010s. The works of Park, Wan-seo, Jo, Kyung-ran, and Kang Yu, ga-ram have in common that they are autobiographical. In addition, these works show how Gangbuk and Gangnam, the center and surrounding areas of Seoul since the 1970s, villages and traditional markets, apartments and multi-family houses have changed in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and how the desires of people reflected in the process were formed. The familism of the urban middle class in Park, Wan-seo’s novels is ‘nuclear family familism’. The protagonists of Park Wan-seo’s novels were not able to go beyond the category of ‘family individual’ despite ‘family fatigue’ and hierarchical anxiety. On the other hand, Jo Kyung-ran’s “I Live in Bongcheon-dong”, features characters who strive to escape from their family and put them into action. The parents appearing in Kang Yoo Ga-ram s documentary reminds us of a young couple in Park, Wan-seo’s novels in the 1970s and 1980s. Considering that the developmentist family of Park, Wan-seo’s novels were ‘cruel optimists’ who sacrificed the present for the happiness of the future, the meaning of this work is new. Jo, Kyung-ran and Kang Yu, ga-ram reconstructed the future family they expected to create 30 years lat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children by a young couple in the era of developmentalism. Park, Wan-seo’s work, which depicts a nuclear family in the first generation of apartments, and Jo, kyung-ran’s and Kang Yu, ga-ram’s works, which focus on the eyes of the second-generation Seoul immigrants or the second- generation middle-class living in apartments, are different but reach a similar conclusion. That is, it has to go beyond the limits of the ‘family individual’. The Bongcheon-dong family of Jo, Kyung-ran eventually failed to enter the middle class, but based on the unfair urban experience they experienced during the urban migration process, they were able to expand their interest in the lives of outsiders and others. After thinking that they have entered the middle class, Kang Yu-Garam’s protagonist realizes that her family has had to sacrifice too much to maintain it. And in the end, she realizes that the middle class, or Gangnam apartment, was nothing more than a discursive construct. As these writers reflect on their parents’ generation, and their own lives, they discover that the family individual in the era of developmentalism was alive as one ideology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basis for its existence disappeared. The need to reorganize the ‘family individual’, which would have been a burden to the parents’ generation, into a ‘family of individuals’ can be seen as another way of life that pays attention to the present itself.
1. 서론
2. 개발주의시대의 ‘가족 개인’과 ‘잔혹한 낙관주의’
3. 주변부의 도시개발과 탈가족의 상처
4. 강남아파트의 ‘위험 가족’에서 ‘개인들의 가족’으로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