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193.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무원의 잠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181

본 연구는 잠재동기를 역량감과 직무자율성, 피드백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내재적 동기 유발요인으로 정의하고, 잠재동기 수준이 혁신행동으로 나타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협업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중앙정부와 광역자치단체에 소속된 일반직 공무원이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의 혁신행동은 잠재동기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무만족이 잠재동기와 혁신행동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으며 직무만족이 부분 매개적 작용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잠재동기와 혁신행동 사이에서 협업 의사소통이 조절변수로 작용하고, 협업의사소통이 잠재동기와 혁신행동의 관계의 강도를 조절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잠재동기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확인된 협업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는 직무만족에 의한 매개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조절변수로 작용 하는 협업 의사소통이 매개변수 직무만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종속변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매개변수 직무만족의 수준에 따라 조절효과가 달라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내재적 동기의 선행요인이 되는 잠재동기 수준이 혁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잠재동기 수준이 역량감, 직무자율성, 성과 피드백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므로 공무원의 혁신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 세 가지 요소가 조화를 이룰 때 혁신행동이 높아지므로 통합적 관점에서 잠재동기 향상을 위한 인적자원 관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잠재동기와 혁신행동의 관계를 규명하고 있으며 직무자율성, 역량감, 성과 피드백의 상호작용을 통해 혁신행동을 설명하는 점에서 기여하는 바가 있다.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분석모형 설정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함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