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O Toole과 Meier의 공공관리모형을 우리나라의 일선 소방서에 적용하여 관리역량, 인력안정성 및 협업관리가 화재발생빈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리기제들의 관계를 탐색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전국에 분포한 1,120개의 일선 소방서의 조직 특성으로 구성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예측처럼 관리역량과 인력안정성은 화재발생빈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의용소방대와의 협업관리와 화재발생빈도는 비선형적 관계가 있었고, 이 관계의 강도와 방향성은 관리역량, 인력안정성, 그리고 관할구역의 인구 수준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선행정기관과 자원봉사조직 간 협력의 어려움과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다수의 관리기제가 서로 상충할 수 있으므로 기회비용 관점에서 기관별 상황을 고려한 최적 조합의 모색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Ⅰ. 서론
Ⅱ. 소방서의 관리-성과관계 개관
Ⅲ. 연구의 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와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