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140.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과 일본의 공공데이터포털 재난안전 데이터셋 및 서비스 비교 분석

Comparison of Disaster Safety Datasets and Service in Korean and Japanese Public Data Portals

  • 4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공공데이터포털의 재난안전 데이터셋 및 서비스에 대한 비교 분석을통해 한국 재난안전 공공데이터포털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비교기준을 정립하고, 재난 유형 및 안전관리단계의 구성요소별 데이터셋 비중 분석, 데이터셋 설명에 대한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동향분석, 데이터 품질과 포털 서비스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재난안전 공공데이터 셋은 한국이 수치적인 측면에서나 비중에서 모두 일본보다 낮았으며, 재난안전관리단계 측면에서 일본은 재난 대비 및 복구 데이터셋 비중이높은 반면 한국은 예방 데이터셋 비중이 높았다. 또한 재난 대응 협업 측면에서는 한국은 대부분이 물자관리 및 자원지원이 차지하고 있지만, 일본은 피해시설 응급 복구 및 상황관리 총괄 비중이 높았다. 데이터 품질 측면에서는 일본은 버너스리 평점 4단계 데이터셋이 많지만, 한국은 주로 평점 3단계 비중이 높았으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형식은 한국이 더 유리한 것을 확인하였다. 포털 서비스는 일본은 자연재난 중심으로 편재되어 있으나, 한국은 사회재난 중심으로 편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의 재난안전 공공데이터 포털의 향후 운영방향에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datasets and servicesof representative public data portals in Korea and Japan. Comparative standards were established first. Then, dataset weightanalysis of disaster-type and safety-management -stage components, trend analysis through text mining on data-setdescriptions, and data quality and portal services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public data sets were lower in Koreaboth numerically and proportionally than in Japan. Japan had a high proportion of disaster preparation and recovery datasetsin terms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while Korea had a high proportion of prevention data-sets. In addition, in termsof disaster response collaboration, most of Korea has material management and resource support, but Japan has highproportion of emergency recovery and situation management of damaged facilities. In terms of data quality, Japan has manydatasets with four levels of Berners-Lee rating. However Korea has a high proportion of datasets with three levels ofBeners-Lee rating. However, Korea has a better data format for big-data utilization. Portal services are mainly centered onnatural disasters in Japan, but in Korea, they are centered on social disas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referencefor the future direction of disaster safety public data portals in Korea.

1. 서 론

2. 본 론

3.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