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金鑢의 한시에 나타난 ‘妓女’의 문학적 형상

A Study on the literary embody of ginyeo of Kim Ryeo’s poetry

DOI : 10.17293/dbkcls.2018.74
  • 4

1797년 12월 김려는 유배지 부령에 도착했다. 이 때 상심하고 상처받은 그에게 따뜻한 애정의 손길을 내밀어준 여인이 있었으니, 바로 부령의 부기인 연희였다. 그녀의 성은 池, 이름은 蓮華(愛稱 蓮姬), 자는 春心, 호는 蕸軒이다. 김려는 그녀에게 따뜻한 위로를 받았고, 그녀와의 사랑을 통하여 마음의 안식을 얻게 되었다. 이때부터 김려는 연희와 깊은 연인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1801년 4월 신유옥사의 와중에서 김려가 부령에서 경남 鎭東으로 유배지를 옮기게 되면서, 김려와 연희는 어쩔 수 없이 기약 없는 이별을 하게 된다. 갑자기 진동으로 이배되어 사랑하는 연인과 헤어지게 된 김려는 그녀와의 사랑을 잊을 수 없었다. 그래서 연희와의 애정이 넘쳐흘렀던 부령시절을 회고하며, 연희를 소재로 한 수많은 한시작품들을 창작하게 된다. 문학사에서 길이 기억될 이 작품들은, 그가 이배지 진동에서 부령시절을 그리워하며 쓴 『思牖樂府』에 수록되어 전해지고 있다. 『사유악부』는 바로 기녀를 소재로 한 김려의 대표적인 창작물인 셈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김려가 이러한 작품들을 창작하게 된 배경이 되는, 先進的인 여성관을 그의 다른 시편을 통하여 함께 살펴보았다. 그는 평소에 여러 시편 속에서 여성의 인간성에 대한 옹호와 건강미 예찬을 하고 있었고, 인간평등에의 지향 의지를 보여주고 있었다. 바로 이러한 선진적 여성관과 의식을 바탕으로 그의 기녀 관련 시편들이 창작되었다. 또한 본고에서는 『사유악부』 의 연희뿐만 아니라, 김려가 기녀를 소재로 창작한 시들 전반을 고찰했다. 즉 먼저 『사유악부』에 수록된 부령의 부기 연희와의 사랑을 노래한 애정시와, 그녀의 재능과 언행을 칭송한 작품들이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살펴보고, 김려가 부령의 다른 기녀들과 교류했던 시편들도 검토했다, 이와 함께 해배 이후에 서울로 돌아와 창작되어진 『歸玄觀詩草』 소재의 「哀李酒嫗十首」도 함께 고찰하여, 이들이 각각 어떻게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어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김려는 유배지 부령에서 연희와 깊은 연인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고, 영산옥, 양관옥, 노심홍, 정설염, 소혜랑, 아섬, 임요조 등의 기녀와도 허심탄회하게 어울리며 그들의 세계를 이해하고 있었다. 「哀李酒嫗十首」는 김려가 유배에서 돌아온 후 서울 청계천의 색주가에서 만난 늙은 기녀 이씨를 슬퍼하며 지은 10수의 한시이다. 「애이주구십수」에 보이는 늙은 기녀에 대한 연민과 그리고 애상은, 젊은 시절 김려 자신이 연희에게 느꼈던 불같은 사랑의 잔재이기도 하다. 이제는 흘러가버리고 사라져버려서 다시 붙잡을 수 없는!

December 1797, Kim Ryeo arrived at Booryung, the place of exile. At that moment a warm and loving hand was gave to grieved and hurt Kim Ryeo by a woman called Yeon Hee and was the Boogie of the Booryung region. Her last name was Ji(池), given name was Yeon Hwa(蓮華), Ja was Choon Shim(春心), and Ho was Ha Hun(蕸軒). Kim Ryeo was comforted by her warm gestures and as time passed he got the peace of mind through loving her. Since then, Kim Ryeo and Yeon Hee started a deep romant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However, during the April 1801 Shinyouoksa incident Kim Ryeo’s place of exile was moved to Kyoungman(鎭東) from the Booryung region and inevitably, Kim Ryeo and his lover had to face a parting without any promises. Being tore apart from his lover, because of Kim Ryeo’s transportation to Jindong, he could not forget his love with Yeon Hee. To recall the warm, lovely memories of Booryoung Kim Ryeo started to write countless sino-Korean poetries based on Yeon Hee. The poetries that will be appreciat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re being passed down from the ‘Sayouakboo(思牖樂府)’ which was written by Kim Ryeo missing his days in Booryoung while he was being transported in Jindong. ‘Sayouakboo(思牖樂府)’ is Kim Ryeo’s representative creation about ginyeos. In this paper, the author has looked through 先進的 the background of Kim Ryeo’s creation which formed his perspective of women by examining his other poetries. He usually supports the humanity of women and praises the healthy beauty of women in his poets and he reveals his value of human equality. This progressive view towards women became the base for creating his ginyeo related poets. Additionally, not only the author studied Yeon Hee from ‘Sayouakboo(思牖樂府)’ but also studied Kim Ryeo’s ginyeo based poets by half. In other words, the love poem singing his love with Yeon Hee, the Boogie of Booryoung and the creations praising Yeon Hee’s talents and words in ‘Sayouakboo(思牖樂府)’ were firstly took in study in order to study how they were embodied and then the other poets related to the ginyeos in Booryoung were examined. Along with the studies mentioned above, 歸玄觀詩草 based 哀李酒嫗十首 the poets that were created when Kim Ryeo’ came back to Seoul after his exile was ended were also taken into examination in order to discover how they were literary embodied. During his days in his Booryoung exile, Kim Ryeo had a deep romantic relationship with his lover but also he fraknly mingled with ginyeos such as Yeong San Oak, Yang Kwang Oak, No Shim Hong, Jeong Seol Yeom, So Hye Rang, Ah Sum, and Lim Yo Jo to understand their world. 哀李酒嫗十首 is about meeting an old ginyeo after Kim Ryeo came back to Seoul. This poet was written in a sad mood which is a sino-Korean poet. The pity and sadness towards a thrown out ginyeo shown in ‘Ayjugooshipsoo’ is actually the left love of Kim Ryeo’s heart towards Yeon Hee. As the love is a past memory which cannot be recaptured!

1. 들어가며

2. 선진적 여성관

3. 작품에 나타난 ‘기녀’의 문학적 형상

4. 나오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