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 한문 문법서의 성과와 향후 과제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of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Grammar Book

  • 2
커버이미지 없음

한국 한문 문법서는 ‘한국인에 의해 집필된, 형태론․통사론을 중심으로 한 한문 문법에 대한 설명을 다루고 있는 책’의 의미로 잠정 정의될 수 있는데 한국 한문 문법서는 크게 두 종류로 유별된다. 하나는 독해를 위한 기본적인 문법 지식을 설명하는 류이다. 다른 하나는 ‘한문 문법 체계의 설명’이라는 목표에 의해 집필된 류이다. 본고는 후자를 대상으로 하되 이들 저서들에 제시된 용어, 분류 등을 상호 비교하거나 단순 비판하는 것에 목적이 있지 않다. 그보다 향후에 편찬될 한문 문법서의 편찬 과정에서 필요한, 이전의 연구 성과 분석과 그에 따른 과제의 서술에 중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품사의 활용, 문장의 생략과 도치를 통해 한문 문법서의 성과를 고찰하였고, 다음 몇 가지를 중심으로 향후 과제를 논하였다. 첫째 한문 문법 의식의 제고, 둘째 예문의 선정, 셋째 문법서의 체계․개념․용어, 넷째 허사 관련한 과제, 다섯째 문법 항목의 추가, 여섯째 텍스트의 문법 묘사, 설명을 통한 이론과의 연계 등이다. 본고에서 논의한 내용이 향후 한국 한문 문법서를 집필하는 연구자들에게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grammar book can be provisionally defined in the meaning of ‘a book which is written by Koreans and deals with explanations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based on morphology and syntax’. There are two kind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grammar books. One is a description of basic grammar knowledge for reading. The other one is a compilation by the goal of ‘Explanation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system’.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latt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not to compare or criticize the terms, classification, presented in those books. Rather, we focus on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chievements and describing the tasks that follow, required in the compilation process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books to be compiled in the future.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achievements of the Classical Chinese grammar books through the active use of parts of speech, inversion and omission in a sentence. We also discussed some future tasks focusing on the following: the first is the grammatical consciousness-raising of Classical Chinese; the second is the selection of the effective examples; the third is the system, concept, and terminology of the grammar book; the fourth is the tasks related to function words; the fifth is the addition of grammatical items; the sixth is grammatical description of a text sentence. We anticipate that the contents discussed in this paper will be of benefit to the researchers writing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grammar book.

1. 머리말

2. 한국 한문 문법서의 성과에 대한 검토

3. 한국 한문 문법서 서술의 과제

4. 여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