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韓國 漢文 敎科書의 變遷史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s in Korea-Base on the application period of curriculum-

DOI : 10.17293/dbkcls.2018.74
  • 7

漢文科 敎材는 漢文科 敎育課程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자료를 선택하여 그것을 매개로 교수․학습의 의사소통을 하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문과 교재 중 가장 대표적인 교재라 할 수 있는 ‘敎科書’, 그 중에서도 교육과정이 적용된 시기 이후에 발행된 ‘한문 교과서’로 한정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교과서 발행 제도는 國定․檢定․認定制를 倂用하고 있는데, 한문 교과서는 초기에는 검정 또는 인정 교과서로, 중기에 한때 국정 교과서로, 그리고 최근에는 인정 교과서로 발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에서 교육과정이 제정된 이후에 발행되었거나, 혹은 그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漢文 교과서(漢字, 漢字語 포함)를 조사하여 目錄化하고, 수집 가능한 교과서를 통해 한문 교과서의 변천 과정 및 그 내용상의 특징을 개괄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한문 교과서는 국가의 語文政策 그리고 敎育課程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게 되었다. 어문정책이 바뀜에 따라 소위 ‘敎育漢字’, ‘常用漢字’, ‘漢文敎育用 基礎漢字’가 제정되었고, 제한된 紙面에 이들 한자를 소화하기 위해 單元의 數 및 구성 체계 등이 변화하게 되었다. 또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그 기본 취지에 맞게 내용의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그리고 외형 체제 등에 있어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Classical Chinese class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selected educationally meaningful material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classical Chinese class curriculum. Classical Chinese teaching materials mediated to communicate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presents the history of changes in Korea Classical Chinese class teaching materials of the textbook. Classical Chinese textbooks published after the curriculum application period and The Korea textbook issuance system uses of combination that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authorized textbook (middle stage), and recognized textbook. Classical Chinese textbooks has been published an authorized textbook or recognized textbook in early stage and Government-published textbooks in the middle stage, after that recently recognized textbook. This article showed listing and cataloging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s, according as curriculum in Korea. Also, Language planning was influenced enactment of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 ‘Commercial Chinese characte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basic Chinese character’.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there are various changes i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xternal structure.

1. 들어가며

2. 敎育課程期別 漢文 敎科書의 編纂 經緯 및 發行 實態

3. 나가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