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세계 한문교육의 방향과 한국의 역할

The global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and the role of Korea

본고는 현재 한국의 한문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넓은 시야에서 성찰하는 의미에서 해외 몇몇 국가의 사례를 토대로 ‘세계 한문교육의 방향’을 진단하고 ‘한국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곧, 중국․대만․일본․북한․한국 등 근세 이후 동아시아 각국의 한자교육 정책을 요약하고 중국․대만․일본․미국에서의 한자한문의 교과과정 및 교과서, 한자 사전 등의 한자한문교육 관련 제 상황을 개괄하였다. 동아시아의 각 지역, 각 국가는 한자교육에 일정한 관심을 쏟고 있지만 한자한문 교육은 차츰 감쇄하는 추세이다. 한국의 한자한문교육은 한국한문의 실상과 한국한문 연구의 전통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 현재의 세계 고전 연구 추세에 라인-업하고 있는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본고는 한국의 한자한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1) 한국한문의 역사적 실상에 대한 고찰 필요, (2) 세계 한자한문 고전연구의 추세에 라인-업을 하기 위한 숙려 필요, (3) 한국학의 확산을 위한 한자한문 교육의 해외 보급, (4) 해외로부터의 학적 요구에 부응하려는 자세 전환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surveys the current global directions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with several cases including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nd suggests the role of Korea. The policies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in East Asia countries in modern period will be summarized and also the curricula and textbooks, dictionaries of each countries concerned including China, Japan, Taiwa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ill be and also surveyed. It is at the moment estimated that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in East Asia countries is in decrease in spite of their constant political efforts in each countries. It is needed to reconsider whether the current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in Korea reflects the true picture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its traditional methodologies. At last this article suggests the several henceforth tasks: (1) the examination of historical reality of the spheres of Sino-Korean literature, (2) the efforts to keep up with the global trend of classical studies, (3) the dissemination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for the diffusion of Korean studies, (4) the aggressive strategies to meet the academic requests from the countries abroad.

1. 들어가며

2. 동아시아 각국의 한자교육정책

3. 중국의 한자한문교육

4. 대만의 한자한문교육

5. 일본의 한자한문교육

6. 미국의 한자한문교육

7. 나오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