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19세기 개별 문인의 문필 활동을 확인해 본다는 목적 하에 怡室 李鐸遠(1777~1840)의 生涯와 詩世界를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이탁원은 浮沈있는 평탄치 못한 삶을 살았다. 몰락한 가문에서 태어나서 중앙 관계에 진출하는 것도 여의치 않았고, 집안의 형편도 넉넉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純祖와 憲宗 때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며 당대 少論系 명사들과 폭넓게 교유하면서 詩文으로 상당한 명망을 얻었다. 그는 문집인 『怡老室全藁』에 약 430수의 시를 남겼다. 이들 작품은 주로 50대 이후에 지어진 작품들인데, 본고는 이 가운데 그의 交遊詩․遊覽詩․日常詩를 분석하였다. 그의 교유시는 시라는 문학 작품을 매개로 벗들과 지속적으로 안부를 교환하고 자신의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출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일정 부분 편지의 기능도 포함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유람시는 특정 영역에 국한하지 않고 유람을 하면서 보고 느낀 감정들을 자유롭게 시로 표현하고 있으며 일상시의 경우는 자기 고백적 특징과 함께 지극히 평범해 보이는 일상적인 삶의 과정을 시로 읊고자 한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이탁원은 소론계 문인들의 문필 활동 및 교유 양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조선후기 한시사를 이해하는 데에도 적지 않은 시사점을 주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ne s life and the poem world of Lee tak-won(1777~1840). He had a hard time with so many types. However, he served in various public offices during the period from Sunjo to Hyeinjong in Joseon dynasty. Also, he had gained a considerable reputation for poetry and prose by broadly interacting with contemporary celebrity. His collected of 『Leerosiljeongo』 works contained about 430 poems. These are mainly composed after the 50 s. In this study analyzed his social intercourse Poem, sightseeing poem and daily life poem. As a result, He used a literary work of the poem by means that news and expressing the longing. His social intercourse Poem partial included the function of letters. And his sightseeing poem freely expresses the feelings and the daily life poem was expressing the everyday life process which seems to be very ordinary with its confessional features.
1. 序論
2. 李鐸遠의 生涯와 交遊
3. 李鐸遠의 詩世界
4. 結論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