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株煥(1854∼1919)은 1919년 高宗의 승하에 끝내 비분을 참지 못하고 자결한 비운의 憂國之士이다. 그는 淵齋 宋秉璿(1836∼1905) 및 心石齋 宋秉珣(1839∼1912)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평생 處士로 지내며 왜정의 간섭과 강압에 홀로 저항하였다. 그의 자결을 추모하기 위해 총 469명이 566수의 만사를 남겼는데, 이는 『연호유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분량이다. 본인의 저작을 압도할 만큼 많은 만사의 수량은 연호의 죽음이 얼마나 특별하고 파급력이 큰 사건이었는지를 짐작케 한다. 만사에서 연호는, ①가정과 스승의 가르침을 체득한 成仁의 처사 ②군주와 명운을 함께한 忠義의 열사 ③신념을 위해 목숨을 바친 持節의 선비 ④민족의 자존심을 지킨 矜持의 표상으로 형상화되었다. 연호 만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달리 수량이 많고 작자의 층위가 다양하다. 둘째, 내용상 개인적 애도보다는 사회적 평가가 극히 우세하다. 셋째, 자연물․韓中 인물 등 기존의 모티프와 娥林․南昌․連湖․連橋․洗心臺․枕流亭 등 연호를 지칭하는 새로운 모티프가 함께 등장한다. 이러한 新․舊 모티프의 교직 양상은 한반도에 ‘순국’이 시공을 초월하여 존재해 왔으며, 이는 민족의 자긍심을 유지시키는 매개임을 강조하기 위한 설정이다.
Lee Ju-hwan(李株煥, 1854∼1919) was a tragic scholar who committed suicide with a rage of grief for the death of King Gojong in 1919. Learning from Yeonjae Song Byeong-seon(淵齋 宋秉璿, 1836∼1905) and Simseokjae Song Byeong-sun(心石齋 宋秉珣, 1839∼1912), he had devoted himself to studying without entering the government and resisted alone against the interference and pressure in the reign of Japan. To honor his suicide, 469 scholars left 566 funeral ode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anthology 『Yeonho Yugo(連湖遺稿)』. The massive quantity of their funeral odes exceeding the author s writings makes us imagine how influential Yeonho s death was in those days. In the funeral odes, Yeonho is described as ⅰ) a scholar of virtue living in seclusion who had mastered the teachings from teachers and home, ⅱ) a patriotic martyr with loyalty who had thrown in his lot with the king, ⅲ) a scholar with fidelity and constancy who sacrificed himself for his beliefs, and ⅳ) a symbol of pride who had kept the honor of the people. The features of the funeral odes for Yeonho are as follows. First, the quantity is exceptionally great and there are a broad spectrum of writers. Second, social evaluation is much more superior to personal mourning in terms of those contents. Third, new motifs, such as Arim(娥林), Namchang(南昌), Yeonho(連湖), Yeongyo(連橋), Sesimdae(洗心臺), and Chimryujeong(枕流亭), are used to call Yeonho, along with the existing motifs, such as natural objects or figures in Korea or China. This mixed use of new- and old motifs is presumed to be a literary setting in order to emphasize that patriotism on the Korean Peninsula has always existed beyond time and space and it is a medium which keeps the people s pride.
1. 서론
2. 만사에 형상화된 연호의 여러 면모
3. 연호 만사의 특징과 새 모티프의 창출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