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李瀷의 『百諺解』 연구

A Study on the 『BaekEonHae(百諺解)』 of Lee Ik(李瀷)-The new research material of restoration in 『BaekEonHae』 original form-

  • 10
커버이미지 없음

星湖 李瀷이 편찬한 漢譯俗談集 『百諺解』는 우리나라의 속담을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로, 『星湖全書』에 수록되어 있는 필사본이 유일한 것으로 학계에 보고된 바 있다. 성호는 민간에 유행하던 우리 속담을 기록하고 해설을 붙여 『백언해』를 편찬했다고 스스로 밝힌 바 있는데, 『백언해』라는 제목과는 달리 우리나라 속담을 한문으로 옮겨 놓은 것만 있고, 수록된 속담의 수도 389개나 된다. 따라서 지금 전하는 『백언해』에는 원래 존재하던 해설 부분이 누락되어 있고, 속담도 원래의 것보다 다수가 추가되어 있을 것이라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백언해』의 原形을 復元해 보고자 하였다. 자료 조사를 통해 3종의 異本을 찾을 수 있었는데, 이 3종 가운데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의 『閒中記聞』과 하버드대학교 연경 도서관의 『螢雪記聞』에 실려 있는 『백언해』에는 각각 389, 390개의 속담만 있을 뿐 ‘해설’부분이 없었다. 반면 성호기념관의 『隨錄』에 실려 있는 『백언해』에는 66개의 속담과 그 ‘해설’ 부분이 함께 제시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것이 『백언해』의 원형에 가장 가까운 善本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동안 전하지 않았던 『백언해』의 ‘해설’ 부분이 실제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종의 異本에 실려 있는 속담의 數는 총 391개이다. 그런데 茶山 丁若鏞은 星湖의 『백언해』는 원래 백여 句라 말한 바 있어 상호간에 200여 개나 차이가 난다. 이 391개의 속담을 茶山의 俗談集과 대조 분석해 본 결과, 그중 105개가 『백언해』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茶山이 『백언해』에 수록된 속담 중 韻을 달 수 있는 것만 취해서 만든 것이므로 『백언해』에 실려 있던 속담의 수는 최소 105개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이 105개 속담 중 35개는 『백언해』의 異本 3종에 모두 실려 있고, 나머지 70개는 해설 부분이 없는 2종의 이본에만 실려 있다. 茶山은 해설 부분이 있는 『백언해』에 수록된 66개 속담 중 35개 속담을 자신의 속담집에 반영하였는데, 나머지 31개의 속담은 韻을 맞추기 여의치 않아 취하지 않았을 뿐 원래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해설 부분이 없는 2종에만 실려 있는 325개 속담 중에서 茶山이 취한 속담은 70개인데, 나머지 255개 속담 중에서 韻을 맞추기 여의치 않아 취하지 않은 속담이 몇 개인지는 현재로서는 추정할 수가 없다. 그렇다면 현재까지 확인 가능한 범위 내에서 『백언해』의 원형에 가장 근접한 속담의 수는 최소 136개라 할 수 있다. 최대치는 150개 남짓인 것으로 추정되는바 현재 전하는 391개의 속담 중 상당 부분은 星湖가 수집한 것이 아니라 후인들이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 본고를 통해 『백언해』에 원래 실려 있던 것이 확실한 136개의 속담 및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던 ‘해설’ 부분 66개를 복원할 수 있었다. 현재 발견된 66개 이외에 적어도 70개의 ‘해설’ 부분이 더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차후 새로운 자료가 계속 발견되어 『백언해』의 原形을 復元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漢譯俗談을 연구하는 데 一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eongHo(星湖) Lee Ik(李瀷) compiled by Han Kook proverbial book 『Baek『eonhae(百諺解)』 is a very important resource for studying Korean proverbs. In the academic, it is said that only the proverbial manuscripts contained in the SeongHo compendium. SeongHo recorded our proverb that was popular in the private sector and compiled a commentary on 『Baekeonhae』. And unlike the title, only the Korean proverbs are replaced with Chinese sentences, and the number of proverbs is 389. Therefore, the present 『Baekeonhae』 is missing a part of the original commentary. Also, the proverb can be raised more than the original question. So in this study attempted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Baekeonha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three kinds of a variant version, only Sungho Memorial Hall of 『SooRok(隨錄)』 contained the 66 proverbs of explanation. And the number of proverbs can be confirmed at least 136(contained the Tasan’s 70 proverbs) in 『Baekeonhae』 to the original form.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able to restore 136 proverbs and 66 parts of explanation in 『Baekeonhae』. The new material is subsequently discovered, the original form of 『Baekeonhae』 will be help to restoration and Korean proverbial history.

1. 문제 제기

2. 『百諺解』의 異本 現況 및 槪觀

3. 茶山의 『百諺詩』․『耳談續纂』을 통한 『百諺解』의 原形 復元

4. 남는 문제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