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청장관 이덕무(1741~1793)의 『사소절』(1775)을 대상으로, 『사소절』에 활용된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지식 정보 규합 및 재생산의 한 방식과 그 의의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소절』은 이덕무의 저작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읽힌 저술 중 하나로, 그 호응의 한 요인에는 19세기의 독자가 『사소절』을 ‘재미있는 독서물’로 인식하였던 배경이 있었다. 이덕무는 주희의 『소학』을 모범으로 하되 18세기 조선의 현실에 맞게 변용한 규범서로써 『사소절』을 기획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경전·사서·성리서·조선 선유의 저작, 『명유학안』·『뇌고당척독신초』 등 및 다양한 필기잡록과 총서류를 비롯한 명청대 서적, 이덕무 개인의 견문 정보 등 총 세 가지 계통의 지식 정보가 습합되었다. 이 중 명말청초 문인들의 저술에서 초출한 지식 정보들은 대부분이 어록·척독·필기소품에서 고른 문장이다. 이덕무는 청언소품의 문장을 노출시켜 규범서의 문체 특색을 전혀 색다른 것으로 탈바꿈시켰다. 또 『뇌고당척독신초』의 척독 및 『칠극』 등에서 흥미를 끄는 소화를 인용하여, 18세기 문인들의 독서 취향을 겨냥하고 독자에게 자연스럽게 규범을 전달하는 효과를 얻고자 했다. 이덕무 개인의 경험을 출처로 하는 지식 정보를 활용한 경우, 동시대 한양의 화제와 풍속세태를 중심으로 편집하여 현실성과 생동감을 불어넣었다. 이러한 특징은 『사소절』의 규범에 핍진함을 부여할 뿐 아니라, 독자가 동시대인으로서 동질감을 느끼며 저자와의 심리적 거리를 단축하고 규범의 독서에 적극적으로 호응하도록 유도한다. 더불어 이덕무는 가족과 주변 인물의 사례를 다수 기재하여 주변의 사소한 장점조차도 존중하고 배우려는 자세를 보인다. 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적인 내밀한 감정의 표출은 『사소절』 독자와의 친밀감을 제고하고, 『사소절』의 규범에 대한 신뢰와 호응을 촉발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현실적인 독서 대중의 구미에 맞추어 천근한 언어와 예화를 활용하고, 이를 통해 규범을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한 글쓰기 전략을 통해, 『사소절』은 19세기의 독자에게 재미와 독서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규범서로서 자리매김했다. 그리고 이는 예민한 감각으로 동시대인의 요구와 취향을 파악하고, ‘지금 여기’의 화제를 가장 잘 포착해 냈던 이덕무의 지식 편집자로서의 역량을 드러내는 한 방증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ethod and meaning of knowledge editing Strategy in 『Sasojeol(士小節)』 by Lee, Deok-mu(李德懋, 1741~1793), intellectua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Sasojeol』, The book of etiquette for the family of Joseon s nobility, is one of the most widely read works of Lee, Deok-mu. One of the reason for its popularity is that readers in the 19th century perceived 『Sasojeol』 as an interesting writing. Through a very clever strategy of knowledge editing, he responded to the popular reading tastes of the people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Sasojeol』, He used three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The first is from scriptures and other books created based on Confucian traditions. The second is from the latest Chinese books imported from Qing Dynasty. And the last is the knowledge derived from his life experiences. Lee, Deok-mu quoted short aphorisms and literary letters or anecdotes from the latest Chinese books. Especially using Aphoristic style writing, He transformed sentences of the formal etiquette book into condensed and epigrammatic some. And to convey the etiquettes to readers naturally, he quoted interesting anecdotes from like 『Lai gu tang chi du xin chao(賴古堂尺牘新鈔)』 and Pantoja s 『The Seven Victories(七克, Qi Ke)』, books popular with contemporaries. When using his personal experience in 『Sasojeol』, he recorded current topics or trend in Hanyang, the capital of Joseon. These narrative features not only gave sincerity to the etiquettes in 『Sasojeol』, but also induced readers to feel homogeneous with the writer as contemporaries. In addition, he wrote down many anecdotes from his family and friends in 『Sasojeol』. The expression of human respect and love to his family and friends made readers feel close to the author and trust the contents of the book more. In conclusion, 『Sasojeol』was regarded as a book that provoked interest and desire for reading in the 19th century readers. This is evidence of Editor Lee, Deok-mu s outstanding knowledge editing ability.
1. 서론
2. 『士小節』에 활용된 지식 정보의 계통
3. 지식 세계의 확장과 이덕무의 편집 전략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