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破閑集』 소재 시의 전고 활용과 형상화에 관한 고찰

How to ‘用事’ and ‘形象化’ appearing in the poems in <Pahanjip(破閑集)>

이 논문은 『파한집』에 나타난 이인로의 전고 활용 방식을 추적한 것이다. 이인로는 『파한집』에서 시 비평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여, 시문학 비평에 큰 공을 세웠다. 실제로 이인로가 제시한 비평의 견해가 『파한집』 곳곳에서 발견된다. 그의 비평에 적용된 여러 가지 기준 가운데 하나가 전고 활용이다. 옛 전고를 정교하게 사용하여 완성도 높은 결구 형식을 보여주는 것이 한시 창작에서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이를 한시 비평의 핵심 기준으로 삼은 것이다. 이 논문은 이에 주목하여 ‘용사’를 분석 도구로 삼아, 이인로의 『파한집』을 살펴보았다. 2장 “이인로의 用事論과 琢句論”에서 이인로의 전고 활용에 관한 견해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3장 “『파한집』 소재 시의 전고 활용과 형상화 방식”에서 『파한집』 소재 시의 전고를 추적하여 전고의 유형과 성격을 “전고를 활용한 정교한 시어 구사”, “전고를 활용한 수사적 이미지와 관념의 형상화”, “전고를 활용한 서정과 서사의 구성”, “여러 전고를 아울러 활용한 현학적 재미의 구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인로 시론의 특징과 『파한집』의 저술 성격을 규명하는 문제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traces the Lee In-ro s method of using 典故 in <Pahanjip>. Lee In-ro pioneered a new way of criticizing poetry in <Pahanjip>. As a result, he made great achievements in criticizing poetry. In fact, Lee In-ro presented critical views throughout the <Pahanjip>. One of the many critique criteria he used is 用事. Using the old 典故 elaborately, It was considered important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poem composition. So, this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criticizing Chinese poem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is point, Using the 用事 as a tool to analyze Chinese poems, Lee In-ro’s <Pahanjip> was analyzed. In Chapter 2, “Lee In-Ro’s 用事論 and 琢句論”, I examined Lee In-ro’s views on 用事. Subsequently, in Chapter 3, “The use and shape of the entire highs in the poems of <Pahanjip>”, the 典故 of the poem of <Pahanjip> was traced to find out the type and personality. Through this, tri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Lee In-ro’s poem and the character of his <Pahanjip>.

1. 머리말

2. 이인로의 用事論과 琢句論

3. 『파한집』 소재 시의 전고 활용과 형상화 방식

4.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