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려 이유태(1607~1684)는 우암 송시열, 동춘당 송준길 등과 깊은 교유관계를 맺은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유학자이다. 예학과 경학은 물론 경세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유배기에 완성한 『庭訓』, 『四書答問』 등의 저작은 해당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율곡학을 계승한 당대의 학자로 평가되어 왔다. 그는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어려운 시대를 살면서 관직을 수행한 적도 있으나 그 관력이 화려하지는 않았다. 그나마 1680년 이후로는 예송논쟁으로 인해 송시열과 사이가 멀어져 영변으로 귀양가기도 했다. 초려는 사계 김장생을 스승으로 섬겼다. 그러므로 사계가 스승으로 섬겼던 율곡의 경전해석을 계승한 것은 그 당연한 귀결이었으며, 『사서답문』은 이러한 학문적 맥락 속에서 저술된 것이다. 이 책이 집필될 당시 초려는 갑인년 예송에 휘말려 유배생활 중이었는데 그 당시 이미 칠십을 넘고 있었다. 손자들의 질문에 대답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는 『사서답문-맹자』는 사계 김장생 이후로 조선의 맹자해석이 전환되어 가는 의미있는 양상을 보여주는 저작이다. 초려는 대전본을 활용하여 소주까지 비판적으로 독실하게 읽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정치경제론 분야의 관심사와 문헌의 활용정도, 諺解에 대한 관심, 주석의 수준과 한계점 등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초려에 이르러 대전본은 더 한층 충실하게 분석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다만 유배지라는 저작의 환경으로 인해 문헌 활용의 범위는 한정적이었고, 손자에게 주는 답문의 형식이라는 저작의 성격은 본격적인 연구서로서의 성격을 다소 주저하게 만든다. 또 초려 자신의 한정적인 관심 분야도 맹자 전반에 대한 폭??은 해석의 시야를 제한했다. 이로 인해 『사서답문-맹자』는 소주의 분석과 활용이라는 신선한 시도로서의 의미 외에 좀 더 본격적인 학술서로서의 평가는 조금 주저할 수밖에 없다. 이는 대전본 소주의 충실한 독서물로서의 이 저작의 상징적인 의미를 다소 아쉽게 만든다.
Choryeo Lee Yu-tae (1607~1684) was a Confucius scholar who represented the mid-term of Joseon with a profound colleague relationships with Wooam Song Si-yeol, Dongchundang Song Jun-gil and others. He had deep knowledge not only in study of courtesy and Confucian Classics but also in study of economy as well. His writings including 『Jeonghoon』, completed while he was in exile, 『Saseodapmun』 and others are widely known in the applicable fields and he is evaluated as a scholar of his time with his succession of the Yulgok studies. While living in a turbulent era to experience the Jeongmyo-horan (Chinese Invasion in the Year of Jeongmyo) and Byeongja-horan (Chinese Invasion in the Year of Byeongja), he served government positions, but his work career was not splendid one. And, after 1680, his drifted away from Song Si-eyol due to the Yesong-nonjaeng (disputes among scholars and government officials on the procedure involving funeral servic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at he was in exile to Youngbyeon. Choryeo had Sagye Kim Jangsaeng as his teacher. Therefore, it would be natural conclusion that he upheld the Scripture interpretation of Yulgok who Sagye served as his teacher, and 『Saseodapmun』 was written under such an academic context. At the time of writing this book, Choryeo was in exile after involved in Yesong in the year of Gapin and he was over 70 years of age at that time. 『Saseodapmun-Mencius』 was in the format of answering to questions of grandsons and this was a publication that displayed the meaningful trend to shift the Mencius interpretation of Joseon after Sagye Kim Jangsaeng. Choryeo facilitated the Daejeonbon to be assessed as reading critically and devotedly, and in this article, it is confirmed of facilitation level of bibliographs and interests in the political economic theories, interests on annotations, level and limitation of notes, and so forth. In conclusion, it is clear that it is possible to assess that the Daejeonbon is even more duly analyzed upon the time of Chorye. However, due to the publication environment in the exile, the scope of bibliographic facilitation has to be restrictive, and the characteristic for publication in the form of questions and answers interacting with grandchild makes somewhat hesitant for its characteristic as a full-time research writing. Also, Choryeo himself restricted a broad approach even for his limited fields of interest as well. Because of this attribute, 『Saseodapmun-Mencius』 is somewhat hesitant for the assessment as a full-scale academic writing other than the implication for refreshing attempt in analysis and facilitation of small annotations. It leaves somewhat more desirable for the symbolic implication for the publication as a diligent reading of the small annotation of Daejeonbon.
1. 문제 제기
2. 초려 이유태의 학문경향과 『사서답문-맹자』
3. 『사서답문-맹자』의 분석
4. 남는 문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