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광해군대 騈儷體 館閣文學의 아젠다와 형식에 대한 小考

A Brief Analysis of Agenda and Convention of Parallel Prose Style State Literature in King Kwanghaegun s Regime

DOI : 10.17293/dbkcls.2021.88.
  • 6

광해군대의 관각문학은 당대의 중요한 역사적 흐름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학계의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 본고는 문헌에 산견하는 광해군대 관각문학을 집적하고 창작 시기를 고증했다. 그 중에서 변려체를 사용한 옥책문, 교서, 표문에 주목하여 그 창작 배경이 되는 광해군대의 왕권 강화 시도, 공안정국의 흐름, 동아시아 외교 변화 양상을 밝혔다. 또한 정권의 아젠다를 구체화한 광해군대 관각문의 수사와 함께, 이정귀와 이이첨을 위시로 한 관각문인들의 역할과 광해군의 통치 행위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이와 더불어 변려체 교서와 사은표 문체의 전변과 형성 과정을 밝힘으로써, 광해군대에 교서의 변려문 형식의 규범성이 크게 제고된 사실과 이이첨의 사은표가 고려대부터 형성된 사은표 형식의 전통을 따르되 전고 사용에 있어서 개성이 드러나는 점을 지적했다.

Although state literature of Kwanghaegun period demonstrates a significant historical movement of the epoch, not much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Korean Sinitic literature and History. This study compiled the scattered literary works of the Kwanghaegun regime from various written sources and ascertained their creation period. And this paper selected important works and analyzed the background of creation: an attempt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development of hostility between factions, and change in diplomacy in East Asia, focusing on parallel prose style jade investiture documents, royal addresses, and imperial petitions in particular. This analysis revealed how the rhetoric of state literature embodied the agenda of the regime and what was the role of official writers-the two most prominent Yi Chŏngkwi and Yi Ich ŏm-and the king s political action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literary structure of royal address and diplomatic document of appreciation. The analysis suggested that the convention of parallel prose style royal address was highly standardized in Kwanghaegun period. And it also indicated that Yi Ich ŏm s diplomatic document of appreciation follows the conventional style, which had formed from Koryŏ (Goryeo) era, though he used distinctive vocabulary and literary references.

1. 서론

2. 對內用 下行文字 : 玉冊文과 敎書

3. 對外用 上行文字 : 表文

4. 광해군대 敎書와 謝恩表 형식의 변별점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