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시나리오 방법론은 구체성의 결여와 국가정책의 형성과 추진에 필요한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해 주지 못해 국민들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5년 내외의 중기 국가정책 수립에 활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청년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담화 콘텍스트를 토대로 수요자 중심의 정책 방안 도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미래 콘텍스트 시나리오(context scenarios)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미래 콘텍스트 시나리오라는 방법론적 접근에 중점을 두고 한국의 대졸 미취업 청년들의 미래를 구상하고 설명해 보려는 것이다. 대졸 미취업 청년들의 생활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에서는 미래사회를 예측하는 거시적인 시나리오보다 청년들의 일상을 반영하는 미시적 콘텍스트 시나리오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청년들의 목소리를 반영한 미래 콘텍스트 시나리오는 불확실한 변수보다 이미 정해진 몇몇 주요 미래 변수들을 통해 상당히 실행가능성이 높은 정책과 미래전략들을 도출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졸 미취업 청년들과 관련한 장기 미래예측보다는 5년 내외의 중기 정책 아이디어를 미래 콘텍스트 시나리오를 토대로 도출하였다.
The existing scenario planning lacks specificity and does not provide a clear direction, so it was difficult to use it for mid-term national policy establishment, which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eople’s liv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context scenarios that can be used to derive consumer-oriented policies based on the discourse context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cusing on the policy of unemployed college graduates.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envision and explain the future of unemployed college graduates in Korea, focusing on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the context scenarios. In a study that qualitatively analyzes the lives of unemployed college graduates, it is possible to derive more meaningful results by applying the micro-context scenarios that reflect the daily life of young people rather than the macro-scenarios that forecast the future society. This is because future context scenarios that reflect the voices of young people can derive policies and future strategies that are highly practicable through some key future variables that are already set rather than uncertain variables. In this paper, mid-term policy ideas of 5 years or less are derived based on future context scenarios related to unemployed college graduates.
1. 서 론
2. 선행연구분석
3. 미래 콘텍스트 시나리오의 구성 원리
4. 미래 콘텍스트 시나리오 개발의 기본 방향
5. 미래 콘텍스트 시나리오 구성요소 도출
6. 미래 콘텍스트 시나리오 도출 과정
7. 미래 정책 아이디어와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