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을 독해하는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단계별로 독해를 구현하는 것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각 단계의 수준에 맞게 표준화한 교수학습 방법을 구성하여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면, 학습자가 흥미를 느끼면서 스스로 학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한문을 독해하는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학습자가 성취감을 얻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단계에 따른 표준화된 학습 방법을 구성해야 한다. 중등학교의 한문과 수업에서 난도가 높은 한문 문장을 독해하는 학습이 이루어지기는 어렵다. 따라서 반드시 각 수준에 부합하는 문장들을 골라 활용해야 한다. 이로써 독해하는 원리를 익히는 학습과 이 원리를 활용하여 독해를 구현하는 학습을 단계별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2015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독해에 관한 기본 지침들을 참고하여 독해의 단계별 접근 방법을 구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특히 ‘한문 어순의 이해와 독해’라는 관점에서 특히 ‘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생략과 도치’, ‘문장의 유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아울러 허사를 활용하여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는 방안과 독해 문장에서 再讀字를 처리하는 문제에 관해서도 함께 논하였다. 이 연구의 궁극의 목표는 여러 가지 사례를 분석하여 독해의 방법을 수준별로 유형화하여 중등학교 한문과 수업의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향후 관련 연구자들 사이에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져 진전된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deciphering Chinese texts, Under this principle we will see what we are reading. If you use the standardiz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level of each stage, It will be possible for learners to learn by themselves while learning. In order for learning to decipher Chinese texts to be effective and the learners to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must create a standardized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level.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 Chinese sentences with high difficulty in the Chinese class lesson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refore, you must select appropriate sentences for each level.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step-by-step learning of interpretation by referring to the basic guidelines on the interpretation presented in ‘2015 Chinese curriculum’. Especially, from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and reading of Chinese word order , we examined structure of sentence , omission and inversion of sentence composition and type of sentence . In addition, I examined how to analyze the structure of sentences by using 虛辭 and how to interpret sentences using 再讀字.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pare interpretation methods at various levels and to use them in Chinese classroom teaching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ers will have active discussions on this basis.
1. 문제 제기
2. 현토와 문장 구조에 유의하여 독해 단계 구성하기
3. 독해에서 虛辭의 활용과 再讀字의 처리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