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주체인 예술강사들의 정체성이 올바르게 규정되지 않음을 인식하고 예술과 교육이 만나는 통합적 정체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최근 학교예술강사들은 갑작스런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단절, 온라인 매체활용이라는 부담을 겪게 되었다. 이런 부담은 기존의 예술 전문성, 교육적 전문성에 대한 요구, 예술강사를 일자리 사업의 객체로 바라보는 시각과 더해졌다. 연구자는 예술강사가 문화예술교육의 주체로 자리 잡지 못한 원인을 예술강사의 역할을 수동적으로 설정하고 교육현장에서 이뤄지는 예술과 교육을 분절시켜 통합적 방법론을 찾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첫째, 학교예술강사와 정체성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분석했다. 둘째, 예술강사가 지닌 두 특성인 ‘예술가’와 ‘가르치는 사람’을 분석하여 그 통합적 지점될 속성을 모색했다. 셋째, 앞서 두 가지 특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예술강사의 통합적 정체성의 하위 요소로 메타 인지적 관점, 인간에 대한 이해, 창의적 활동에 대한 이해를 도출했다. 세 가지 요소는 통합적으로 작동하는데 문화예술교육의 주체로서 자신의 예술언어를 성찰하고 타인과 소통하고 교육현장과 사회에 유용한 창의적인 결과물을 산출한다. 학교예술강사들의 역할을 학교 안팎으로 확장시킬 제도적 발판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성공적인 유지와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cognize that the identities of teaching artists who are the subjects of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are not correctly defined to seek an integrated identity where art and education meet. Recently, teaching artists have been burdened with disconnection due to sudden online classes and the applying online tools. This burden was added to the existing demand for art expertise, educational expertise, and the view of teaching artists as objects of government s job projects. The researcher saw that the reason why teaching artists did not regards as subjec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that they could not find an integrated identity and methodology. It is occurred by passively setting the role of teaching artists and segmenting art and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theoretical basis for teaching artists and identities. Second, the two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rtist s ‘artist’ and ‘teacher’, were analyzed to find the attributes to be an integrated point. Thir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wo characteristics above, meta-cognitive perspectives, understanding of humans, and understanding of creative activities were derived as sub-elements of the integrated identity of teaching artists. The three factors work integrally, reflecting on one s own art language as the subjec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producing creative results useful for the educational field and socie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nstitutional foothold to expand the role of teaching artists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resource for the successful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ies.
Ⅰ. 서론
Ⅱ.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예술강사의 정체성
Ⅲ. 예술강사가 지닌 두 가지 특성
Ⅳ. 예술강사의 통합적 정체성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