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조선 讀書人의 尙友論

Interpretation of Sangwu(尙友) theory among scholar in Choseon dynasty

DOI : 10.17293/dbkcls.2017.71
  • 4

맹자가 상우에 대하여 언급한 이래로 많은 문인들이 상우에 관하여 언급하였다. 이들의 관점은 명분이 같지 않고 사업이 서로 다르더라도 정신적으로 사모하고 벗하여 그와 같아지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 점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윤선도의 「상우부」와 신최의 「상우오찬」을 살펴보았다. 윤선도는 자신이 상우의 대상으로 삼은 인물들을 본받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선비는 반드시 그 뜻을 높이하고 학문을 크게 해야 한다고 하여 상우의 의미를 자신의 수양에 두었다. 신최는 상우를 자신의 부족한 점을 채워 자아의 완성을 돕는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이들은 모두 상우의 대상에 걸맞을 수 있도록 노력을 경주할 수 있는 동력을 상우에서 찾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상우는 현세와 어긋나고 삶이 순탄하지 않으면 현세에 대한 불만을 야기할 수 있고 고상한 정조를 숭상하여 옛사람에게 벗한다는 것을 구실로 삼아 염세적인 경향으로 흐를 수도 있으며 정신적인 결합을 강조한 나머지 현세에서의 벗을 부정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도 지니고 있다고 할 것이다.

Since Mencius mentioned Sangwu (尙友), many writers have mentioned about Sangwu. Their point of view could be positive in that they did not have the same cause and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business, but they yearned and were mentally dedicated to try to be similar.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Yun Seon-do’s “Sangwu-bu” and Shinchoe’s “Sangwu『ochan.” Yun Seon-do put Sangwu’s meaning in his self-‐discipline as a pre-requisite to imitate the characters that he had set as the object of Sangwu, and that scholars must heighten its meaning and enlarge its scholarship. Shinchoe approached Sangwu in terms of helping one complete one’s self-sufficiency. It is said that all of them found the power in Sangwu to make an effort to match Sangwu’s object. However, Sangwu can be dissatisfied with the current world if life is out of line and not smooth, and it may flow into a pessimistic tendency as an excuse to take up the noble elegance and to make friends with the old people. It is also said that it emphasizes the spiritual union so much that it carries the risk of denying the friends in the current world.

1. 서론

2. 尹善道의 「尙友賦」

3. 申最의 「尙友五贊」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