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의 우도론은 조선시대와 차이를 보이는데, 李穀은 「義財記」에는 형제의 우정보다 친구 간의 의리를 더욱 중시하는 당시의 풍기가 반영되어 있다. 또 李穡의 「對客問」은 朋友有信이 五倫 중 가장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앞의 4가지 윤리가 이상적 수준에 도달하면 붕우유신은 따로 노력하지 않아도 저절로 성취할 수 있다는 극단적 논리를 반박한 글로, 고려 후기에는 우도 의식이 여타 윤리적 가치에 비해 느슨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李穡은 「送朴中書歸覲序」에서 친구 간의 사귐을 세력에 따라 맺어진 교제[勢合]와 진심으로 맺어진 교제[心合]로 구별하면서, 후자는 義에 토대한다고 하였다. 조선 개국기의 우도론은 卞季良의 「契盟文」과 같은 盟契文의 형태로 출현하였고 이후 丁克仁의 「泰仁鄕約契軸」와 같은 鄕約契軸으로 模擬되는데, 붕우간의 규약이 향촌 공동체의 규약으로 확산되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이후 士禍가 발생하면서 맹약문이나 경계 형식의 우도론은 자취를 감추고, 金安國의 「送文生歸南州序」와 같이 우도의 파괴와 속물적 교제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글이 출현한다. 조선 후기에는 정쟁으로 인한 분당이 격화되면서 우도론이 이론화․구조화되었다. 柳夢寅의 「送權仲明盼宰江華序」은 東人의 南人․北人 분당, 北人의 大北․小北 분당, 骨北․肉北․中北으로의 분기 과정에서 야기된 허위적 교제를 비판한 글이다. 西人의 老少分黨은 조선 후기 지식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본격적 우도론의 출현을 추동하였다. 李之濂은 「朋友說」에서 친구가 중대 범죄를 저지르지 않으면 절교하지 말아야 한다는 극단적 논리를 제시하였다. 「朋友說」은 노소 분당의 핵심 인물인 朴世采와 尹拯에게 보내졌고, 이 글을 두고 8년간 논쟁이 전개되었다. 李瀷은 경솔한 절교를 경계하였으니, 그는 義理라는 핵심 가치가 결여되었기 때문에 중간에 친구와 절교하게 되는데, 이것은 인생의 낭비라고 하였다. 그는 또 친구 간에는 재물을 서로 융통하여 구제해 주는 도리가 있어야 한다는 논리를 제시하였다. 安鼎福은 붕우 간의 윤리가 올바로 성립되지 않는다면 나머지 네 가지 윤리가 밝아질 수 없다고 하면서 교제를 面交․勢交․心交․情交․道義之交의 다섯 가지로 구분하고 당시의 사귐은 面交와 勢交에 불과하며, 心交나 情交는 기대하기 어렵기에 그보다 상위 수준의 道義之交는 바랄 수조차 없다고 한탄하였다. 鄭在褧은 「交友論」에서 교제의 유형을 利交․勢交․面交․心交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그는 이익과 권세의 유무에 따라 이합집산하는 利交나 勢交, 면전에서 즉흥적 기분 맞추기만 추구하는 面交는 속세의 사귐에 불과하지만, 心交는 학문을 매개로 하며 내면의 본질을 추구하며 이상적 인간의 완성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목숨을 바칠 수도 있는 참된 교제라 할 수 있다고 하였다. 崔漢綺는 「朋友損益」에서 인간의 인지적 능력은 제한적이고 경험도 제약이 있기에, 타인의 견문과 경험을 제공 받아야 한다고 하였다. 다만, 타인이 제공하는 정보와 경험을 선별하고 그것을 분석 종합 개괄할 수 있는 능력도 구비해야 한다고 하였다.
The Theory of Friendship of the Goryeo Dynasty differed from the Joseon Dynasty. In Lee-Gok(李穀)’s 「Euijaegi(義財記)」, it was reflected the morality of the time that emphasized friendship more than friendship of brothers. In addition, Lee-Saek(李穡)’s 「Daegaekmun(對客問)」 was a refutation of extreme logic that Bungwooyusin(朋友有信) is located at the last position of the five moral disciplines[五倫], so that if the above four ethical values reached the ideal level, it could be accomplished without self effort. In the late Goryeo Dynasty, it could be seen that the consciousness of friendship was looser than other ethical values. In 「Songparkjungseogwigeunseo(送朴中書歸覲序)」, Lee-Saek(李穡) distin『guished friendship into friendship which is depending on the forces[勢合] and sincere friendship[交合], and he said that the latter was based on righteousness[義]. In founding period Joseon Dynasty, the theory of friendship emerged in the form of a Maenggyemun(盟契文) such as Byeon Gye-ryang(卞季良)’s 「Gye maengmun(契盟文)」. Then it has been simulated as Hyangyakgyechuk(鄕約契軸) like Jeong Geuk-in(丁克仁)’s 「Taeinhyangyakgyechuk(泰仁鄕約契軸)」, it was remarkable that the promise between friends has spread to the agreement of the local community. However, as the Sahwa(a massacre of scholars, 士禍) broke out, the pledge and vigilance type theory of friendship hid the trace, and there appeared a harsh criticism of the destruction of friendship and the bourgeois associations such as Kim Ahn-guk(金安國)’s 「Songmunsaenggwinamjuseo(送文生歸南州序)」.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olitical party due to the political dispute had intensified, and the theory of friendship was theorized and structured. Yu Mong-in(柳夢寅)’s 「Songkwonjungmyeong ban jaeganghwaseo(送權仲明 盼 宰江華序)」 was a criticism of false associations caused by dividing process like Dongin divided into Namin and Bukin, Bukin divided into Daebuk and Sobuk, or Golbuk, Yukbuk and Jungbuk. The Noron-Soron political party(老少分黨) of the Seoin gave a great shock to the intellectual socie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promoted the emergence of the theory of friendship in earnest. In 「Bungwooseol(朋友說)」, Lee Ji-ryeom(李之濂) suggested the extreme logic that it should not break off relations, unless the friend commits a serious offence. 「Bungwooseol(朋友說)」 was sent to Park Se-chae(朴世采) and Yun-Jeung(尹拯) who were the key figures of the Noron-Soron political party, and it had been debated for over eight years. Lee-Ik(李瀷) warned of breaking off relation rashly, he said that because the core value of righteousness lacks, so he break up with a friend in the middle, that is a waste of life. He also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 duty to finance and save each other among friends. Ahn Jeong-bok(安鼎福) said that if the ethics were not properly established among friends, the remaining four ethics could not be brightened. Then he distinguished friendship into five types : face-friendship(面交)․power-friendship (勢交)․heart-friendship(心交)․affection-friendship(情交)․morality-friendship (道義之交). The friendship of the time were only face-friendship and power-friendship, these were just a relationship to match your feeling in front of the face, and it was hard to expect heart-friendship and affection-friendship (情交), so he lamented that a higher level of morality-friendship could not even be expected. In 「Gyowooron(交友論)」, Jeong Jae-gyeong(鄭在褧) distinguished friendship into four types : interest-friendship(利交)․power-friendship(勢交)․face『friendship(面交)․heart-friendship(心交). He said that interest-friendship and power-friendship which are depending on the profits and authority or face-friendship that seeks only to make an impromptu feeling in one’s presence were only the friendship of the secular world. However, it was said that heart-friendship was a true friendship that mediat
1. 서론
2. 고려의 우도론
3. 조선 전기의 사회 공동체 規約과 우도론
4. 조선 후기의 우도론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