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이주 모빌리티로 형성된 제주영어교육도시의 장소성
The Placeness of Jeju Global Education City through Educational Migration Mobility
- 강다희(Dahui Kang) 고민경(Minkyung Koh)
- 한국공간환경학회
- 공간과 사회
- 공간과 사회 78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12
- 52 - 91 (40 pages)
제주영어교육도시는 해외유학 및 어학연수의 대안적 공간으로서 제주로의 교육이주를 끌어들이고 있다. 이 연구는 교육이주 모빌리티로 형성된 제주영어교육도시의 장소성을 분석하고 사회공간적 함의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 교육이주 모빌리티에 의해 형성된 제주영어교육도시는 기존의 제주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별적인 모습이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이주 모빌리티는 어떻게 제주에 뿌리내려 정착의 토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제주영어교육도시는 이주자들에게 어떤 장소로 인식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교육이주자들은 이질적 무대를 만들어 일시적 뿌리내림과 관계맺기를 실천하며 통로적 장소감을 갖고 살아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주영어교육도시는 교육이주 모빌리티에 의해 이질성, 일시성 및 통로성의 장소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Jeju Global Education City(JGEC) attracts educational migration to Jeju as an alternative space for overseas study and English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laceness of JGEC formed by educational migration mobility and discusses the social and spatial implications. To this end, we investigate differential features and landscapes of JGEC compared to the existing Jeju. In addition, we examine how educational migration mobility is embedded to JGEC by doing so, how JGEC is perceived as a place by migrants. We found that educational migrants produced a heterogeneous site, practiced temporary embeddednes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actors in JGEC, and lived with a sense of place as a passage to other spaces. As a result, JGEC constructs heterogeneity, temporality, and passageness of placeness through educational migration mobility.
1. 들어가면서
2. 선행연구의 검토: 모빌리티와 장소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교육이주 모빌리티의 정착: 이질성
5. 교육이주 모빌리티의 재생산: 일시성 및 통로성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