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VID-19 백신 보급에 따른 경계와 모빌리티의 재구조화
아프리카 대륙의 사례
- 박준홍(Jun Hong Park) 정희선(Heesun Chung)
- 한국공간환경학회
- 공간과 사회
- 공간과 사회 78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12
- 9 - 51 (43 pages)
본 연구에서는 모빌리티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전략과 인식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COVID-19 팬데믹하에서 불균등한 백신 보급의 상황을 검토하고 아프리카 대륙을 중심으로 보건 불평등과 모빌리티 기회의 제약이 나타나는 맥락을 고찰하였다. COVID-19 팬데믹하에서 백신 접종 여부 및 접종한 백신 종류가 새로운 신원 정보로 경계 관리의 기준이 되고 있으며 이는 차별적이고 배타적인 관계성을 (재)생산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경우, 식민시대부터 지속된 보건 불평등이 COVID-19 상황에서 백신 보급의 불균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모빌리티 기회와 네트워크 자본의 축소를 매개로 사회경제적 취약성을 다시 악화시키고 있다. 전 세계 국가들에서 전개되고 있는 배타적인 백신 승인과 불균등한 백신 보급은 경계 관리 방식과 모빌리티를 재구조화시키고 있는데 이는 생명정치적 통치성을 바탕으로 지정학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생명지정학의 상황을 나타낸다. 저개발국에서 보건 불평등, 모빌리티 축소, 사회경제적 취약성의 악화로 이어지는 흐름을 끊는 것은 일차적으로 평등한 백신 보급을 통해 분배적 정의를 실천하는 것이며, 백신에 따른 신체의 경계화가 모빌리티 권리와 기회의 차별화로 연결되고 있는지에 대한 숙고와 성찰을 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equitable distribution of vaccines under the COVID-19 pandemic, and explores the context of the emergence of health inequality and restrictions on mobility opportunities, with a case of the African continent, in order to emphasize the need for a change in awareness and practical strategies to implement mobility justice. Under the COVID-19 pandemic, vaccination status and the type of vaccine administered has become the standard for border management as new identity information, which (re)produces discriminatory and exclusive relationships. In the case of Africa, health inequality that has persisted since the colonial era has led to inequality in vaccine distribu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which is again exacerbating socioeconomic vulnerability through reduced mobility opportunities and network capital. The exclusive vaccine approval and unequal vaccine procurement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restructuring border management methods and mobility, which represents the biogeopolitics of infectious diseases to achieve geopolitical goals based on biopolitical governance. Breaking the flow that leads to worsening health inequality, mobility reduction, and socioeconomic vulnerability in underdeveloped countries is primarily to practice distributive justice through equal distribution of vaccines. It ultimately requires contemplation and reflection on whether the way in which the human body is regarded as a boundary through vaccines leads to the differentiation of mobility rights and opportunities.
1. 서론
2. 경계 만들기와 모빌리티 정의
3. COVID-19 백신 개발과 보급에 따른 경계화의 실천
4. 글로벌 COVID-19 백신의 분배와 모빌리티의 재구성: 아프리카 대륙의 사례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