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朝鮮은 연이은 士禍로 인하여 정치적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시대였다. 勳舊派와 外戚勢力은 權力을 잡기 위해 끊임없는 암투를 벌였고 그 와중에서 무고한 士林들은 禍를 입었다. 長吟亭 羅湜(1498∼1546)은 靜庵 趙光祖(1482~1519)에게서 수학한 인물로, 乙巳士禍에 연루되어 동생 羅淑과 함께 유배된 후 賜死된 인물이다. 나식은 己卯士禍를 목도하고, 훈구파와 외척의 횡포와 을사사화를 직접 경험한 인물이다. 나식은 사물을 자신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있어 그의 시를 읽어보면 현실을 바라보는 그의 시각을 살펴볼 수 있다. 그의 題畵詩는 색채의 화려함, 기법의 유려함에 대한 찬탄 등의 순수한 미술평이라기보다, 그림 속의 대상물에 부조리한 현실을 투영시켜 감상자의 입장에서 그림을 재해석해내고 있다. 나식은 자의가 아닌 시대의 혼란으로 인하여 은거를 택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었기에 그의 自然詩에는 고요한 자연에 대비되는 소용돌이치는 내면세계가 드러나 있다. 그의 자연시에는 글 읽은 선비로서의 시대적 사명에 대해 고뇌하고, 무력한 현실 앞에 방황하는 지식인의 모습도 드러나 있다. 기묘사화 이후 산림에 은거하는 경향이 있었던 사림들에게 은거가 마음의 평화와 안정을 가져다주는 이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부조리한 현실로 인해 주어진 현실에 대해 절망감을 느꼈던 사림의 일단면을 나식의 시를 통하여 살펴 볼 수 있다. 나식은 부조리한 현실을 극복하지 목하고 결국 사화에 연루되어 억울하게 유배 된 후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나식이 평안북도 강계에 유배되어 지은 시가 문집에 남아 있어 생의 마지막에 그가 느꼈던 고통의 무게를 짐작할 수 있다. 그는 詩를 통하여 슬픔과 억누를 수 없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시를 통하여 여과 없이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겉으로는 한가한 듯하지만 찾아오는 이 없어 고독할 수밖에 없었던 유배인의 이중적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나식은 일생동안 현실세계에 대한 냉철한 통찰력을 잃지 않았기에 그의 시에는 표면적 고요에 대비되는 방황과 고뇌하는 시인의 내면세계가 담겨져 있다. 그는 일차원적으로 대상을 인식하지 않고 자신의 현실세계를 투영하여 나름의 의미를 찾고자 노력했던 시인이었다. 또한 기묘사화 이후 명철보신을 위해 은거를 택할 수밖에 없었던 사림들의 고뇌와 방황의 일단면이 드러나 있다. 그러나 이것을 그의 정치에 대한 집착으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성리학자로서 수기와 치인을 실현시키고자 했던 지식인의 고뇌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16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was the time when political confusion was getting intensified through a series of massacres of scholars, leading to a constant veiled enmity among established hereditary vassals and king s relatives meanwhile innocent people were involved and suffered from it. Eumjeong Jang Nasik (1498∼1546) studied under Gwangjo Jo and took his own life after drinking poison ordered by king as he was allegedly implicated in Eulsa-sahwa and sent into exile with his brother Nasuk. Therefore, he himself witnessed Gimyo-sahwa and had first-hand experience of hereditary vassals and king s relatives despotism and Eulsa-sahwa. Through his poetry, his point of subjects was reinterpreted according to his own point of view showing his critical insights and philosophical reasoning. For instance, his Jehwa-si (題畵詩, Sino-Korean poetry commenting about paintings) was a reinterpretation of the painting from a different angle as audience by projecting irrationalities of the society into the subjects rather than pure comments on the painting such as splendid colors, excellence of technique, and so on. In addition, his circumvoluting inner world was exposed greatly on his tranquil poetry of landscape as he was forced to choose to retire to hermitage not by his own will but by the time of turmoil. In specific, it was manifested in his poetry of landscape that his image of intellectuals being agonized with the mission of the time as a classical scholar and that of wondering against helpless reality. In the aftermath of Gimyo-sahwa, Sarim who tended to retire to mountains might have peace and stability in their mind; however, it could also be considered as one of the attributes they had when they were depressed by given frustration being forced not to cope with unreasonable reality. Unfortunately, getting involved with Sahwa, Nasik was exiled and faced his death under a false accusation. His poetry, made during the time in Ganggyeo, Pyeonganbuk-do, deeply showed his agony in the last moment of his life clearly expressing his grief and longing for his family by showing twofold looks of free life outwardly but lonely one inside without any visitors as the exiled. Without falling from cool-headed insights on reality for lifetime, Nasik expressed a wandering and struggling poet reflecting his inner world compared with tranquility on surface. He was a poet who tried to seek for his own meaning by reflecting his philosophy and a real world rather than by recognizing a subject on one dimension. Also, his poetry showed some aspects of Sarim s agony and their life of rove of the time, compelled to retire to hermitage to save their lives wisely adjusted by given circumstances. However, this attitude cannot be understood as his obsession of politics but rather should be regarded as an intellectual s anguish to realize both self-cultivating (修己) and governing others (治人) as a Neo-confucian.
1. 序論
2. 生涯
3. 羅湜의 詩世界
4. 結論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