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여말에 나타나기 시작한 우리나라 시문선집들의 편찬의식에 대하여 살펴 본 것이다. 우리나라 역대 시문선집 편찬의식의 흐름을 살펴보면 여말, 선초, 조선중기, 조선후기라는 각 시기 별로 특정 의식의 주류적 경향이 감지된다. 우리나라 시문선집 편찬이 시작된 여말 문인지식층들의 우리문화에 대한 자각의식, 선초의 건국주체들에 의하여 나타나는 신왕조 문화 창조에 대한 의지, 조선중기의 다양한 문예의식에 기초한 선문의식, 조선후기의 위항인들에 의해 주도된 위항시문선집들의 등장이 이러한 경향적 흐름을 주도한 주요인으로 보인다. 특히 본고에서 문제 삼는 여말 시문선집들의 편찬은 당시 원과의 관계 속에서 비록 정치 군사적으로는 원에 굴복하였으나 문화적으로는 우리문화가 세계문화에 뒤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에서 편찬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편찬의식이 바로 여말 문인지식층들에 의하여 형성되었던 ‘동인의 문명의식’이며, 이를 실천한 결과물들이『동국문감』․『동인지문』․『선수집』과 같은 작업들이었다. 그리고 질과 양적인 면에서 부족하였던 여말의 이러한 작업들은 중단되지 않고 정도전이 <陶隱文集序>에서 제시한 ‘化成人文的文明’의 재건이라는 기본 원칙 아래 세워진 조선왕조에 계승되면서, 국내외적으로 전개되는 태평 성대한 왕권의 長遠함과 隆昌, 집권세력의 권세와 문덕 등이 온전함을 국내외 新民에 과시하고자 한 신 국가 문인들의 王化意識과 결합되어『동문선』․『대동시림』등과 같은 방대한 편찬사업으로 결실을 보았던 것이다.
Aim of editing of the garland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is to show the fact that our nation submitted to the Yaun Dynasty politico-militarily in that time but was not behind it culturally. Such a editing consciousness was formed by the literati in the end of the Koryo and result of its practice was writings like『Dong Guk Mun Gamꡕ,『Dong In Ji Munꡕ,『Sun Su Jibꡕ. This work that was insufficient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 the end of the Koryo did not discontinue and succeeded in the Chosun that was founded on basic principle of Hwa Sung In Mun Jeok Mun Myoung that Jung Do Jun presented in <Do Iun Mun Jib Seo>. That combined with the literati s royalist consciousness that show off eternity of royal authority and virtue of the Establishment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hen resulted in massive compilation like『Dong Mun Sunꡕ, ꡔDae Dong Si Limꡕ, etc.
Ⅰ. 서론
Ⅱ. 동인의 문명의식
Ⅲ. 왕화의식
Ⅳ.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