陶隱 李崇仁은 고려말의 격변기를 살다간 시인이었다. 그는 이미 당대 문단의 영수였던 牧隱 李穡으로부터 최고의 시인으로 평가받았으며, 조선조의 많은 비평가들 사이에서도 주목할 만한 시인으로 여겨져 왔다. 특히 許筠은 惺叟詩話에서 이숭인을 中唐의 劉長卿과 비교하며 도은시의 뛰어난 회화성을 언급하고 있어서 주목된다. 필자는 본고에서 도은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숲[林]’, ‘샘물[泉]’, ‘시내[溪]’, ‘우물[井]’, ‘구름[雲]’, ‘소나무와 학[松鶴]’, ‘눈[雪]’ 등의 林泉意象과 이와 관계된 ‘차와 술[茶酒]’ 등의 意象 및 淸淨한 意境이 도은시의 품격인 ‘淸新’․‘高古’와 아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林泉意象과 淸淨한 意境으로 이뤄진 그의 시는 대체로 脫俗을 추구하는 시인의 정신적 지향과 맞닿아 있으며, 독자들은 이러한 시를 읽고나면 세속의 찌든 때에서 벗어난 듯한 미감을 느끼게 되는데, 선인들은 대체로 이러한 詩品을 ‘淸新’․‘高古’로 파악하고 있다. 도은시의 회화성은 기본적으로 잘 다듬어진 정련된 언어를 통해 빚어져 있다. 도은시는 마치 잘 그려진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 섬세한 필치로 묘사되어 있으니, 중국의 전통적인 산수시에서 보이는 기법인 “詩中有畵”의 경지라고 할 수 있다. 조탁과 정련된 詩語를 통해 意象을 돋보이게 하고, 때로는 의상에 역동성과 생동감을 부여하기도 하며, 靜態的 意象과 動態的 意象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고요함 속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 속의 고요함을 통한 ‘靜中動’․‘動中靜’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도 한다. 또 시각․청각․후각․촉각등 다양한 감각기관을 통해 의상을 핍진하게 만들기도 하는데, 이 같은 다양한 의상의 운용으로 도은시의 회화성이 완성되었다고 여겨진다.
Doeun-Sungin Lee was appraised above every other Chinese great poets by Mokeun-Saik Lee. The next generation writer Ganee- Rip Choi assessed Doeun as best writer in Korea Dynasty. The notable feature of poets written by Doeun is pictorialness and unworldliness. His poets is like a picture which was painted by an exquisite touch. The picture of his poets is not only technics. It includes a sensibility of the moment, solitude, trust in friends, love for the world. Doeun s poets are eloquently of visual and auditory image. The image of Doeun poets is attributed to polishing up writings. Eusang(意象) in Doeun s poets is very sensuous. Because it is visual and auditorial. It reveals the movement in the calms, and the calms in the movement. Eusang(意象)s being in the different sace time overlaps each other. The Song Dynasty writer TakJu said that Doeun s poets are splendor, but are nt superficial. And he said that they are simple, but are nt rustic. Doeun s poets chased unworldliness. We know it through his poetic word-forest, spring water, stream, cloud, pine tree, snow, crane. These are associated with a dignity of Doeun s poets- chungshin․gogo(淸新․高古). Mokeun said that Doeun s poets beares some feeling of honest poverty and freedom from avarice. It has been 600years since Doeun died. But modern readers are impressed by his poets because of pictorialness and polishing up writings.
Ⅰ. 문제제기
Ⅱ. 임선의 의상과 청정한 의경을 통한 탈속의 추구
Ⅲ. 시어의 조탁 및 정련을 통한 회화서오가 의상의 운용
Ⅳ. 결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