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文學 硏究는 그동안 漢文學史上 뛰어난 작가의 문학사상이나 문학작품에 관해서는 괄목한 성과를 거두어 들였지만, 다양한 방면에서 전체적으로 다루지 못한 아쉬움은 여전히 남아있어 그 범위를 좀 더 확대해야 할 시점에 접어들었다고 생각된다. 올바른 문학작품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론 중에서 그 작품의 문학양식이 지니고 있는 특징들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올바른 산문연구와 작품을 감상하기 위한 방법론의 하나로, 여러 文類 중에서 임금이 신하에게 내리는 글로써 문장 가운데서도 가장 근엄하다고 할 수 있는 詔令類의 淵源과 特徵, 史的 변천과정을 통해 詔令類의 변화됨을 살펴보고자 한다. 詔令類는 公事로 왕래하는 公文書인 公牒의 하나로, 高麗 시대 이른 시기부터 지어진 것으로 秦漢 이래 그 종류와 명칭이 아주 많아졌으며, 각자의 쓰이는 용도에 따라 세분화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분이 엄격한 것은 아니고, 서로의 기능이 유사한 관계로 통용되기도 하였다. 詔令類는 일정한 형식적 한계를 지니면서도 각각의 내용적 특성에 따라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동시에 전체적으로는 古奧·典雅해야 하는 심미적 특징을 지녀야 하며, 사용된 언어는 騈文과 散文을 모두 쓰기는 하나 대체적으로 변문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詔令類散文의 史的 展開科程은, 먼저 작품에 쓰인 언어가 우리나라의 경우 초기에는 변문만을 사용하다가, 이후 산문과 변문이 혼용되어 쓰이기도 하고, 朝鮮시대에 들어오면서 산문 위주로 쓰이기도 했지만, 주류는 역시 변문이었다. 이러한 변문도 초기에는 4·6구의 正格을 사용하다가 시간이 흐를수록 글자의 수에 변화를 주는 變格을 함께 쓰는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長文化 경향도 나타난다.
Recently chinese writing study has acquired astonishing results about the famous writer s literature and discussion. There are, however, lots of reluctant not to deal with many directions. So I think it is a time to magnify the area. For right appreciation about the literature, It seem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that literature mode. Therefore in this thesis, I am going to examine the Jorungru, which is the most serious sentence king give to the retainer through the origin and character, and historical change of Jorungru. Jorungru was made from the early Korea period, and it had many kind and name, and it was classified by use, but not strict, and each ability was in common use with similar relationship. Moreover it had a special feature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contents, and used language was both Bunwon and Sanmun, but usually used Bunmon. By the time order, in early stage, only used Bunmun and after that both Sanmun and Bunmun were used together, and in the Joseon period, Sanmun was mainly used, but the mainstream was Bunmun. Bunmun was shown that at the early stage, it is used formality of correct mainly and the time went by, used a formality of change which made a change to the number of letters.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