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構成主義에 따른 協同學習이 敎科 敎育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한문과도 예외는 아니어서 최근에 협동학습을 적용한 교수․학습의 사례가 다수 발표되었다. 이 가운데 자전활용을 통한 협동학습, 四字成語에 적용한 協同學習, 短文學習에 적용한 協同學習 등을 살펴보았다. 이외에도 협동학습을 적용한 六書 授業, 文章 構造 授業, 解釋 授業 등이 개발되었다. 한문과에서 여러 수업 사례의 결과 협동학습을 통한 교수․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첫째, 漢文科의 特性을 살릴 수 있다. 둘째, 漢文 敎師의 專門性을 드러낼 수 있다. 셋째, 敎授者와 學習者의 協同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사례에서 協同學習의 適用이 한문과에 충분히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상적인 사례 보고에도 불구하고 한문과의 교과 학습에 협동학습을 機械的으로 結合하는 것은 止揚되어야 하며, 有機的이고 辨證的인 結合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특히 漢文科의 特性과 專門性 등이 잘 드러나야 할 것이다.
Recently, collaborative learning by constructivism is adopted in many schools. It s not an exception for Classical Chinese; a number of teaching-learning cases combined with collaborative learning were reported. Among those cases, I ve been through dictionary-using class, four-character set phrases class, and short essay class. In addition, collaborative learning was applied in Liu Shu class, sentence structure class, and translation class. It is proved that teaching-learning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is possible as the result of many Classical Chinese class cases. First, it fortifies features of Classical Chinese. Second, it reveals specialty of teachers. Third, it lubricates collabor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Such cases demonstrate that it is quite possible to apply collaborative 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class. In spite of ideal case reports, however, we need to avoid combining collaborative learning with Classical Chinese education by rote. The combination requires to be organic and dialectic. Especially specialty and features of Classical Chinese should be fortified.
Ⅰ. 序論
Ⅱ. 漢文科 協同學習의 準備와 適用
Ⅲ. 漢文科 協同學習의 特徵과 可能性
Ⅲ. 結論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