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仁興君 李瑛의 일상과 『月窓夜話』

Inheunggun Li Young’s Daily Life and Yue Chuang Ye Hua

  • 3
커버이미지 없음

仁興君 李瑛의 日常과 그가 엮은 ꡔ月窓夜話ꡕ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여기에서 仁興君은 17세기 전반에 활동하던 종친 文藝人을 대표하는 성격을 갖는다. 혼란한 격동기를 살았던 인흥군의 모습에서 外部人과는 차단되어 있으면서 문예에 심취하였던 당대 종친 문예인들의 인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몇 가지 특징을 요약해볼 수 있다. 첫째, 당대 서화가들의 창작과 작품에 대한 촌평과 작품의 소재처에 대한 정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서화를 소재로 주고받던 이야기를 요약해둔 것에 연유한다. 둘째, 安平大君을 비롯한 종친들의 서화 활동과 관련한 정보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작가의 신분 환경에 연유한다. 셋째, 서화의 감상, 비평 활동과 관련한 비교적 이른 시기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17세기 이전까지만 해도 서화 비평 자료가 빈곤하기 짝이 없었던 것이 우리의 현실인데 이 ꡔ월창야화ꡕ가 그 빈틈을 조금이나마 메워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article is about the research on Inheunggun Li Young’s Daily Life and ꡔYue Chuang Ye Huaꡕ. Here Inheunggun was the representative of Loyal family performer in the early 17th century. From the image of Inheunggun, human image of loyal family performer at that time could be found, who was blocked off from the outside and infatuated with literature. Following are its features. First, brief comment on calligrapher’s creative works and the information on position of the work took the big proportion. Such was due to the brief stories on calligraphic works. Second, the calligraphic activities of loyal family and related information headed by Prince An Pyung took the great proportion. It was due to the social position environment of the writer. Third, the significances were the calligraphic appreciation, critical activities and related records of quite early age. Before 17th century there hardly to find out the critics on calligraphy, and ꡔYue Chuang Ye Huaꡕ was expected to fill in the big gap a little.

1. 머리말

2. 종친 인흥군의 일상과 취

3. 서화의 담론과 『월창야화』

4. 맺음말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