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臣’의 성립은 애초 원호의 「원생몽유록」에서 형상된 역사인물에서 비롯되어 이후 역사적 사실로 굳어졌다고 보는 것이 본고의 시각이다. 근래에 발견된 초간본 ꡔ관란선생유고ꡕ를 바탕으로 「원생몽유록」을 다시 살펴보았을 때, 기본적으로 이 작품은 계유정란 이후 왕위를 찬탈한 세조의 불의를 폭로한 작품이지 ‘육신’을 추모한 작품이 아니라는 것이다. 작품 속에 형상된 인물을 살펴볼 때 육신의 행적을 그린 작품이 아니라 작자 자신의 의식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란정이 그 산실이고 단종 사후 3년[1460년]이 되는 기일에 지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이런 「원생몽유록」의 문학적 성격은 남효온의 「육신전」에 사실로 수용되면서 가장 절의한 인물로 이미지화 되었다는 것이다. 이후 역사로 굳어지게 되면서 문학적 형상은 간 곳 없고, 조상의 절의를 선양하기 위한 역사적 전거만 「육신전」에 편입하려 들면서 논란에 휩쓸리게 된 것이다. 1791년(정조15) 편정된 御定配食錄이 그 결정판이라 볼 수 있다. 육신은 ‘여섯 신하’일 뿐이다. 역사인물에 대한 문학적 이해와 사실적 이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원생몽유록」은 어디까지나 端宗悲事에 얽힌 역사인물을 형상한 허구이므로 문학적 입장을 견지해야 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논란이 되고 있는 작품의 선후 문제 역시 첨예한 역사적 담론을 전제로 창작되는 몽유록의 성격으로 볼 때 사실로써 육신이 있는데 다시 허구로 육신을 그리고 있다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 「원생몽유록」이 단종비사보다 육신의 절의에 작품의 초점이 맞춰지는 한 이 작품의 문학적 성격은 여전히 변개와 분식을 입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I think that the coming into existence of the Yukshin(Six Subjects) originated in historical characters who symbolized in Wonho s Wonsaeng-mong-yurok and late cemented by historical fact. when we again inquire into Wonsaeng-mong-yurok which had been produced after the creation of its original version, that is real characters described the issue of usurping a throne of King Sejo into a dream story. that is not characters described to the memory of the Yukshin. because it is reflected his senses, if we observe the characters symbolized in the work. so it is writing at Kannanjeong on 1460. The literary character of Wonsaeng-mong-yurok is imaged the most keeping his principles by Yukshin-jean, and late appeared the discourse. As a result, it is focused Erjeongbaesicrok. A Yukshin is a six subjects. may be there are a difference of opinion in the understanding between literate and fact, but Wonsaeng-mong -yurok describes a tragic death of King Dangjong through a violent character in novel. as we attach importance to a man of principle, it may be changeable forever.
1. 머리말
2. 원생몽유록의 문학적 접근
3. 조선시대 육신의 인식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