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의 도입부 내용 설정과 ‘내용 체계’의 연계성 강화 방안

The Suggestion of Introductory Sections in a New Educational Program of Classical Chinese and the Methodological Basis

DOI : 10.17293/dbkcls.2008..34.335
  • 2

본 논문은 2007년에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한문 교과서를 서술할 때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 강조하고자 한 바는 두 가지였다. 첫째, 한문 교과의 도입부 내용은 원칙적으로 최소 글자로 이루어진 최소 형식의 문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도입부의 내용 설정은, 내용 체계의 ‘읽기’와 ‘이해’ 영역의 ‘단문-산문-한시’에 체계적 연계성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비록 한자 어휘 수준의 짧은 문장이라고 할지라도, 기존의 교육 관행을 고려해 볼 때 한문 교과서가 문장 학습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와 관련해서 본 논문은, 한문교육의 시작 부분은 넓은 의미의 어문교육적 맥락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관점을 취하였다. 그로부터 반복(소리와 문장의 구조)에 기반한 예문 구성을 통해 도입부 내용의 시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단문 학습의 기초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허사와 이질적 문장 구조의 결합을 거쳐 단문에서 산문으로 나아가는 단계를 설정하였다. 동시에 대칭적 단순 반복이 그 내부에 변화의 계기를 내재함으로써 한시의 기본 형태가 파생될 수 있다는 모형에 근거하여 단문에서 한시 학습으로 이어지는 단계적 연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How can we write a textbook of Classical Chinese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course revised in 2007? About the task above, I focused on two points . First, it is that the sentence based education should be the methodological norm from the beginning. Second, it is that the introductory content can give the cohesive explanation in the developing order of sentence- prose- poetry. It is no doubt that sentence based education can be perplexing experience for the beginning students in classical Chinese field. However,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needs the rearrangement on the basis of languag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 sentence focusing on the language play is necessary even for beginning sections. For the education which cover the sentence-prose-poetry levels, I suggest the symmetrical repetition as a language play for all of them. Sentence itself implies the possibility of poetry, then the linear development from sentence to prose and poetry can be explained. The three parts of sentence-prose-poetry can be arranged not only different stages, but by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language game.

1. 논의의 필요성

2.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 취지와 한문교과 도입부의 성격

3. 한문 교과 도입부 구성의 어문교육적 맥락

4.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의 도입부 내용 설계

5. 도입부 구성과 ‘읽기’ㆍ‘이해’ 영역의 단계적 연계성

6. 의의와 한계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