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18세기 문인들이 추구했던 고문작법의 실체를 규명해 보기 위해서 삽교예학록에 나타난 다양한 층위의 산문비평을 분석하고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삽교예학록』은 삽교가 고문작법을 탐구하기 위해서 전범적 고문을 대상으로 그곳에 내재된 편장자구의 운용원리를 분석·비평한 문장학습서이다. 그의 말에 따르면 글이 짜임새를 갖추기 위해서는 편장의 구성이 一貫性과 連繫性, 그리고 嚴整性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고 했다. 작품의 서두에 강령과 맥락을 배치하여 향후 전개되는 편장의 외재적·내재적 구조를 제어하는 한편, 각 편장들이 상호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 채 유기적으로 조직되어서 논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하며, 자구의 간결한 운용을 위해서 엄정한 편장의 구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비평은 18세기 문인들의 고문작법에 관한 인식의 일단은 물론이거니와 구체적 이론과 실천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is essay analyzed various aspects of criticism on prose brought out 『Sabkyoyeohaklok』 and contemplated the meanings it has, to unveil the way to write ancient writings which writers sought for in the 18th century. 『Sabkyoyeohaklok』 is a study book that, for investigating how to write ancient writings, Sabkyo analyzed and criticized the usage of a volume, chapter, letter and phrase with precedent ancient-writings. He said that the organization of a volume or a chapter should look coherent, probable, solemn, and even for the well-done writings. What puts Kangyoung or Maengnak in front of writings, controls external or internal construction of the following volume and chapter, keeping the close relationship mutually between each of them, they are written organically, so the point of writings can be carried successfully, severe structure of them is needed to use a letter or phrase simply. His criticism as above has an important sense that, though it, we can make certain a tangible theory and the direction of practice in writing ancient writings as well as a fragment of writers knowledge on how to write ancient writings in the 18th century.
1. 序論
2. 主題中心의 一貫된 篇章構成 중시
3. 照應과 結構를 통한 篇章의 連繫性 강조
4. 簡嚴한 篇章構成과 字句運用의 추구
5. 結論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