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塤叟 鄭萬陽・篪叟 鄭葵陽의 科制改革案

Hun·Ji s proposal on the reformation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 5
커버이미지 없음

본고는 훈지 양선생의 과거제도 개혁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과거의 폐단은 어느 시대나 지적된 것으로 조선 후기의 문제만은 아니다. 그러나 조선 사회는 그 폐쇄성으로 인하여 사족들은 과거 이외에는 달리 살아갈 방도가 없었다. 따라서 과거에 집착하게 되었고 이는 곧 과거의 폐단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훈지는 과거의 폐단이 나타나게 된 원인으로 ‘선비를 가르치는데 법이 없다’ ‘과거에 응시하는데 정한 수가 없다’ ‘경학이 밝혀지지 않았다’ ‘문체에 뿌리가 없다’는 점을 들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훈지의 과거제 개혁론에서 현재에 깊이 생각해볼 부분은 스승의 권위를 인정하고 존중해주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스승의 권위가 무너지면 학교가 제대로 설 수 없기 때문이다.

This looked into Hun·Ji s proposal on the reformation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vice of the exam wasn t just a problem in the end of Joseon Dynasty but any times had had one. In the closed Joseon society, however, learned men couldn t help passing the exam for their living, so they were attached to it. That caused it to be broken. At that times, Hun·Ji proposed the solution against its problems: there was no way to teach a man of virtue, there was no fixed number of applicants for it, a study of learning the Classics was not found out, and there was no root in a literary style. Now, it is worthy of thinking that the authority of a teacher, they said, should be approved and also held in respect. That s why a school can t be run as it is if the authority falls down.

1. 서론

2. 과거 폐단 원인에 대한 진단

3. 개선방안

4.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