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紫巖 李民寏의 詩文學 硏究

A study on Ja-am Lee Minhwan s poetry

DOI : 10.17293/dbkcls.2008..34.77
  • 2

본고는 紫巖 李民寏(1573-1649) 詩의 외형과 내면을 고찰한 것이다. 현재 󰡔紫巖集󰡕(木版本)에 실려 있는 시는 모두 19題 22首이다. 그 가운데 6題 9首를 제외한 나머지 13題 13首는 모두 輓詩이다. 그의 시의 특징은 첫째 雙聲과 疊字를 통한 리듬감을 살리고 있다. 둘째 出句와 對句에 있어 變則이다. 셋째 다양한 詩體를 사용하였다. 넷째 그의 시는 詩語가 대단히 쉽다. 다섯째 자신의 심정을 그대로 솔직하게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시는 唐詩風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당시 가운데서도 杜甫의 시풍을 많이 닮았다. 이는 그의 仲兄인 敬亭 李民宬이 두보시를 많이 읽은 것과도 관련 있다. 자암이 그의 중형과 학문적으로 많은 교류가 있었기 때문이다 자암의 작품 가운데 「題朝問錄後」는 그에 시에서는 보기 드문 哲理詩이다. 겉으로 보았을 때, 그는 이 시에서 融會貫通을 통하여 至極한 道를 追求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또 後漢 때의 梅福을 꿈꾸고 지은 「꿈속에서 매복을 읍선정 위에서 만나 시를 지어 그에게 줌(夢遇梅福於揖僊亭作詩以贈之)」라는 시는 자아의 희망을 묘사하고 있다. 그가 매복을 꿈꾼 것은 그의 삶을 동경했기 때문이다. 그의 작품 가운데 죽은 사람에 대한 哀悼와 情理를 묘사한 것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자암이 다른 사람을 위해 지은 輓詩에는 관계의 親疎에 따라 그 길이가 차이가 있다. 그가 지은 輓詩의 대상은 영남 지방의 뛰어난 선비이거나 壬辰倭亂과 丙子胡亂을 거치면서 알게 된 知人들이다. 그의 정신세계는 普遍性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혼자보다는 여러 사람들과 함께 자연의 섭리에 따라 살고자 했다. 그는 仁義 정치가 실행되는 堯舜시대를 자신의 理想世界로 생각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poems of Ja-am(紫巖) Lee Minhwan(李民寏: )‘s are linked with life, and what the consciousness sphere in his poems is. Among his Jaamjip four volumes, two books, his own works are 22 poems with 19 subjects and 3 fu(賦)- descriptive prose interspersed with verse. The characteristics of his literature can be summarized into four things. Firstly, poetic style is various. Secondly, Jang-gu poems appear. It can be said that they are written to his own personality. However, more than anything else, they are a literary style produced in the course of passing from Middle period of Chosun to latter period of Chosun. Thirdly, relative importance of fu(賦) is higher than poetry. This work provides us for a valuable material to understand some persons in the work. Considering correlation between his life and poems, firstly, in his poems, some aspects to accept the great age of Tang poetry. All of his poetry, he has been beset with a lot of troubles. Secondly, heavy-heartedness for his country and a volition of national salvation appear. His heavy-heartedness is, of course, personal things as well. But his heavy-heartedness is shown in a larger scale, that is, an earnest desire for stabilization of his country and days of profound peace through the respect for the King and royal family and exclusion of foreign forces. Thirdly, his poems contain a gloomy turn of mind. His sphere of consciousness is not centrifugal but centripetal. As he transcends worldly appetites, the gusto of his poems is graceful, and refined. Fourthly, in his elegiac poems are described different style whether intimate or not. In this thesis, it is possible to look into the consciousness of Korean traditional gentleman in sixteen, seventeen century. It is a significance of this thesis. However, owing not to do a contrasty or comparative survey with other writers in that time. This problem will be solved of own accord if some comprehensive study on other writers, further study, in that time is done.

1. 머리말

2. 紫巖 詩의 外形的 특질

3. 唐詩風을 주로 한 閑寂한 정서

4. 融會貫通을 통한 至道 追求

5. 죽은 사람에 대한 哀悼와 情理

6.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