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사람을 추모하여 지은 시를 挽詩라고 한다. 그 중에서 죽은 아내를 그리워하며 남편이 지은 시가 悼亡詩이다. 도망시는 대체로 만시의 전통과 양식을 따르면서도 몇 가지 점에서 차별적 특징을 보여준다. 창작 시점과 시의 제목이 보여주는 다양성은 그 하나의 단서이다. 즉 도망시는 葬禮기간 내에, 사회적 관계망과 의례의 절차 속에서 지어지는 만시에 비해 창작시기가 일률적이지 않고 제목 또한 다채롭다. 이는 도망시의 목적이 실용적 기능보다는 사별한 아내에 대한 그리움과 내면 정서의 표출이라고 하는 순수 서정적 측면에 놓여있음을 시사한다. 형태면에서 도망시는 가급적 긴 詩型이나 連作의 구성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아내의 안타까운 삶이나 애틋한 부부의 정, 그리고 아내를 잃은 절통한 심정을 최대한 자세하게 그리고 핍진하게 부각시키려는 의도에서 나타난 특징이다. 다만 슬픔을 형상화하는 방식 면에서는 관습적으로 이루어진 일정한 유형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자연물이나 유품 등을 통해 감정을 촉발하거나 고조시키는 방식, 제3의 인물 등을 통해 감정을 우회적으로 드러내는 방식, 현실과 대립하는 꿈을 매개로 해서 幽明의 간극과 어찌할 수 없는 인간의 한계를 부각시키는 방식 등이 대표적인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구성과 표현 면에서 양식성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망시가 아름다운 문학 작품으로서의 의의를 가질 수 있는 것은 ‘진정’과 ‘실감’을 바탕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도망시에서 그려내는 아내는 추상화된 현모양처이기보다는 구체성을 띤 한 남편의 아내이다. 대체로 도망시로 그려내는 아내는 가난하게 살다 불쌍하게 죽은 가련한 여인이지만 남편에게 知己가 되고 責善의 역할을 한 당당한 아내이기도 하다. 남편은 그러한 아내에 대한 부끄러움과 고마움을 숨기지 않으면서 믿음과 존경이 바탕이 된 속내 깊은 夫婦의 情을 그려낸다. 그리고 아내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절절하게 읊어낸다. 그 슬픔이 핍진하고 감동적일 수 있는 것은 작가 자신이 울부짖거나 눈물을 펑펑 쏟지 않아도 독자들의 눈물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탁월한 형상화의 능력 때문이다. 특히 사연을 남겨두고 감정을 숨겨둠으로써 창출해 내는 함축과 여운의 미감은 독자의 경험 또는 감성과 어우러져서 더 큰 진폭의 울림을 만들어 내고 있다. 내외를 엄격히 하고 감정의 노출을 금기시 했던 문화적 배경과 통념, 그리고 죽은 아내여야만 비로소 공식적인 발언이 가능했던 시대적 한계 속에서 도망시는 통곡을 하며 마음 속 응어리를 풀어놓고 살아서 못다 전한 사랑의 마음을 간절한 그리움으로 토해낼 수 있었던 유일한 장이었다.
Poems that are written in memory of the deceased are called Mansi, of which DoMansigsi are written by widowed husbands missing their dead wives. DoMansigsi usually follow the traditions and styles of Mansi and yet have a couple of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ne of them is the diversity in terms of creation perspectives and titles. Compared to Man poems that are written within the social networks and ceremonial procedures during the funeral period, Domangsi have no fixed creation periods or titles. It is because their purposes are not practical but pure sentimental as the writers express their missing and internal emotions for their dead wives. In terms of forms, Domangsi usually take a long form or series since the widower poets try to show the sorry lives of their wives, the dear love between them, and their painful grief over the deaths of their wives in as detailed and truthful ways as possible. But they had a tendency of following certain conventional formats when embodying grief. For instance, they would stimulate or heighten emotions with natural objects or things left by their deceased wives, express their emotions allegorically through a third-party figure, or show human limitations of not being able to overcome the gap between life and death through dreams opposite to their reality. Despite such patterns in composition and expression, Domangsi claims significance as beautiful literary works because they are based on truthfulness and actual feelings. in Domangsi, the writers describe their deceased wives as concrete figures as wives rather than abstract ideal figures as good wives and mothers. Mostly they depict their wives as pitiful women who lived a poor life and died a pitiable death, but their deceased wives are often proud wives who were their husbands appreciative friends and did their best. The husband writers do not try to hide their shame and gratitude for their wives and describe their deep love based on trust and respect, singing their earnest missing for their deceased wives. The grief in Domangsi is truthful and moving thanks to the writers excellent ability to describe their emotions and thus to move the readers into tears instead of wailing and shedding tears uncontrollably for themselves. Especially the aesthetic senses of implication and aftereffect created by leaving stories behind and hiding emotions create an echo of greater vibration in harmony with the readers experiences or sentiments. In the cultural background and common idea that women and men should keep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at the expression of emotions should be avoided and in the limitations of the times that allowed for husbands to make official statements about their wives only after they passed away, Domangsi was the only venue in which the husbands could reveal what was on their minds while wailing and deliver their unfinished love through their earnest missing for their deceased wives.
1. 머리말
2. 悼亡詩의 연원과 전통
3. 도망시의 양식적 특징
4. 悼亡詩의 美
5. 도망시의 문학적 의의와 남은 문제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