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學 敎養 漢字敎育의 現況과 方向
Actual Situation and Direction of Education for Chinese Letters at College-With a focus on the actual situation of education for Chinese letters at Wonkwang University-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학 교양 한자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의 올바른 운용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2000년 이후 대학 교양 교과로서 새롭게 자리매김해 가고 있는 교양 한자교육의 향후 가장 큰 과제는 교양교과로서의 정상적 운용 여부에 있다.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 즉 학문을 탐구하는 대학에서 오직 사회적 요구의 충족만을 위해 한자교과를 개설하여 운용한다는 것은 한문교육의 정상적 운용은 물론 대학 교양교육의 당초 목적에도 어긋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되지 않는다. 이러한 고민은 대학의 교양 한자교육이 취업이라는 현실적 목표로부터 만들어진 것이지 학문적 관심에서 만들어진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학습자의 실용적 요구만을 지나치게 수용한다면 사교육장에서나 성행하는 또 하나의 취업강좌를 생산해내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문조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대학에서 한자 학습을 하는 이유 중 하나가 취업에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며, 더욱이 한자 학습 이후 한자자격증을 취득하겠다는 것이 대부분 수강학생들의 생각이다. 현실이 이와 같은데도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이러한 현실적 요구를 실용적이라는 이유를 들어 외면하면서 굳이 한문의 독해와 감상만을 강요하는 일은 대학 교양 한문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최선이 아니라 본다. 오히려 새로운 변화와 그들의 요구에 맞는 한자교육을 운용할 필요가 있다. 대학 교양 한자교육의 내실 있는 운용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방향을 제시해 본다면, 첫째 일상생활과 전공학습에 필요한 한자어 중심의 학습이어야 하며, 둘째 학과의 특성과 학생의 수준에 맞는 단계별 학습이어야 하며, 셋째 대학의 교양 교재다운 교재를 만들어야 하고, 넷째 학습지도를 담당하는 교원의 연속성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 대학 교양 한자교육에 대한 일부에서의 우려가 있기는 하지만 오히려 새로운 변화에 맞게 그들이 필요로 하는 한자와 한자어의 영역을 적극적으로 담아내면서 그 안에 담겨져 있는 문화와 사유를 이해시키고, 새롭게 제시된 방향에 따라 대학 교양 한자교육을 운용할 수 있다면 이 또한 하나의 훌륭한 교양과목으로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The most important task concerning education of classic Chinese at college in the future seems to conduct education of Chinese letters that has settled down lately in a normal manner. One thing we should not overlook in this connection is the fact that, as argued by some, inau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for Chinese letters at college with the only aim to meet the social needs is not only contradictory to the original objective of education for classic Chinese as liberal arts at college but detrimental to its normal implementation as well. Since education for Chinese letters as liberal arts at college was first initiated for such realistic purpose as employment of students instead of academic curiosity, thoughtless accommodation of requests from learners could only result in production of another course for job placement. As revealed clearly from the survey by questionnaires, one of the reasons that students desire to learn Chinese letters is because the subject is helpful for them to get work after graduation. For this reason, they hope to get qualification for Chinese letters. As a matter of course, it may not be the best to exclusively concentrate on comprehension and appreciation of classic Chinese to activate the education of classic Chinese as liberal arts at college, turning away from the realistic demand of the time. It is rather desirable to comply with the needs of changing situation by actively accommodating Chinese letters, letting students understand the culture and thoughts contained in them and operating by thus the curriculum in the direction as suggested newly, which might be another magnificent way of conducting the subject of liberal arts, too.
1. 머리말
2. 대학 교양 한자교육의 현황
3. 대학 교양 한자교육의 운용방향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