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玄庵 李乙浩의 茶山 論語學에 관한 연구

Yi, Eul-Ho(Hyun-Am) s research on Dasan s Nonhaks

현암 이을호는 1960년대에 다산의 논어학에 대하여 연구와 정리, 그리고 번역과 주석을 하였다. 현암은 다산의 『논어고금주』를 연구한 결과, 다산의 논어학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구체적 실천을 중시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다산의 이 같은 논어학은 공자 당대의 본래적 유학을 지향하였다는 의미에서 ‘洙泗學的 經學’이라고 명명하였다. 한편 현암은 다산의 『논어고금주』에 의거하여 『논어』를 번역하였는데, 한국 『논어』번역사에서 보기 드문 파격적인 구어체를 구사하였다.

Yi, Eul-Ho (Hyun-Am) conducted research, classification, translation and annotation about Dasan s Noneohak in the 1960s. After conducting a research of Dasan s 『Noneokokeumju』, Hyun-Am concluded that the key point of Dasan s Noneohak was concrete practices between humans. He named Dasan s Noneohak Susahakjeok Kyunghak(洙泗學的 經學) since Dasan s Noneohak was originated from Confucius original teachings. Hyun-Am also translated Noneo from the perspective of Dasan s 『Noneokokeumju』 and used a rare and exceptional colloquial style in a Noneo translation history in Korea.

1. 서론

2. 『논어고금주』의 연구

3. 『논어고금주』의 정리

4. 『논어고금주』에 의거한 『논어』번역과 주석

5. 마무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