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托傳, 碑誌, 列傳의 敍事的 特徵과 意味

A study on an Autobiography, Series Biographies, Epitaph -Focusing on Choihae s work-

  • 5
커버이미지 없음

托傳, 碑誌, 列傳의 敍事的 特徵과 意味-崔瀣를 대상으로 한 作品을 중심으로- 白美羅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세 作品의 敍事的 特徵을 보면, 「猊山隱者傳」은 순차적 구성방식에 따라 人物의 內面世界를 전개한다. 作家의 趣旨는 인물의 성품을 서술하는 것이다. 겉보기에 별다른 일이 없는 평범한 인간이 글을 쓰지 않을 수 없는 내적인 동기에 의해 쓴 것이다. 남들과 질적으로 다른 자기 각성이 집필동기이다. 「崔瀣碑誌」의 構造는 어느 한 부분에 집중하지 않고 전체 인생을 조망하도록 구성한다. 執筆意圖는 인물의 생애 중에서 내세울 만 한 점을 부각시키는데 있다. 作家는 墓主에게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된 정보와 業績을 序頭에 서술한다. 이것은 作家가 원하는 墓主의 상을 讀者에게 刻印시키는 효과를 준다. 「崔瀣列傳」에서 인물의 주변 정황에 관한 내용은 疏略하다. 그러나 行蹟과 事件은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장면과 행위를 통해서 인물을 부각시키려 한다. 事件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인물을 드러내기보다 事件과 행위를 표현하는데 중심을 둔 글쓰기 방식이다. 집필동기는 일화를 통해 인물을 평가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autobiography, Series Biographies, epitaph. There are three epical traits in the work. Choehae Autobiography is based on the life as the vertical axle. According to it, it tells characters inner minds. The theme in the work is to describe the characters personality. In appearance, we suppose that some ordinary person writes by some inevitable inner urge to write something. His motive for writing is his awakening that he can t go along with his surroundings. The framework in Choehae epitaph doesn t focus on one part and takes view of the whole life. The writer doesn t depict some blamable incidents in selecting realistic materials. He chooses some complimentary writing style. His motive for writing is to look around someone s life and to underline some conspicuous incident. choehae Series Biographies describes characters surroundings briefly while it emphasizes someone s behaviors and incidents. It focuses on character through detailed scenes and behaviors. The detail and comment is centered on the incidents instead of writing for character. Author of a literary nature is determined by motivation. The intent of the artist s works of literature to determine.

1. 序論

2. 個別 作品의 敍事分析

3. 托傳, 碑誌, 列傳의 比較

4. 結論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