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崔述의 『孟子事實錄』 硏究

Study of 『Maengjasasilrok』

DOI : 10.17293/dbkcls.2010..45.91
  • 21

『맹자사실록』은 청대 고증학자인 崔述(1740-1816)의 저술로 『考信錄』諸書 중의 하나이다. 최술의 『考信錄』은 최술의 사후 백 년 가까이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학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일본의 那珂通世가 1902년 『史學雜誌』에 「考信錄解題」를 발표하면서 이 책의 학술적 가치가 논의되기 시작하였으며, 1932년 중국의 『史學年報』에 이 글이 번역 소개 되면서 중국 학계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한국에서의 최술과 『考信錄』에 대한 연구는 중국에 비하여 매우 늦게 시작되었으며, 특히 공자의 생애와 사적을 변증한 『수사고신록』에 대하여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수사고신록』은 철저한 고증에 의한 최술의 독창적인 견해가 제시되었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공자와 『논어』의 연구자들 사이에 필독서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실제로 본고에서 다룰 『맹자사실록』은 맹자와 그의 제자들에 대한 매우 심도 있는 논의를 담고 있는 최술의 중요한 저술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연구 성과가 한 건도 보고된 적이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맹자사실록』의 저술동기와 고증체계, 구성과 고증목록, 고증의 특징 등을 분석하여 소개했다. 『맹자사실록』은 기본적으로 맹자에 대한 무한한 애정에서 탄생한 저술이다. 최술은 먼저 맹자의 생애를 시기별로 나눈 다음, 『맹자』의 본문을 해체하고 분류하여 재배치하였다. 그리하여 맹자의 행적이 두서없이 섞여있던 『맹자』라는 책은, 맹자의 유년 시절부터 노년시절까지 일목요연하게 ‘事實’을 수록한 『맹자사실록』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이것은 기존의 『맹자』에 대한 주석과 고증과는 다른 최술만의 새로운 시도이다. 최술이 『맹자사실록』에서 사용한 고증방법은 ‘以經爲主論’이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열녀전』이나 『한시외전』 같은 소설류 전기 자료들의 허황함을 부정하고, 『전국책』과 『사기』의 맹자에 대한 왜곡 현장을 폭로하였다. 최술의 맹자에 대한 칭송은 각별하다. 그는 韓愈의 견해를 인용하여 맹자가 異端을 배척하고 문화를 지켜낸 공로를 기리고 있다. 그래서 그는 ‘공자를 있게 한’ 맹자를 현학적인 경지를 추구하며 폄하하고 있던 宋나라 儒者들의 관점을 비판하였다. 이것은 최술의 고증학이 空理空談을 일삼고 있던 이들에 대하여 견지했던 일관된 태도이기도 하다. 그는 ‘맹자를 있게 한’ 맹자 문인과 제자에 대해서도 지대한 관심을 표명했다. 때문에 『맹자』에 등장하는 제자들의 행적을 추출하고 분류하여, 이들을 악정자, 공손추, 만장과 같은 ‘수준 높은 弟子’부터 제자의 여부를 단정할 수 없는 그룹까지 4등급으로 나누어 고증하고 있다.

Written by Choi-sul(崔述, 1740-1816), an evidential scholar from Qing dynasty, 『Maengjasasilrok』is one part of his book Gosinrok that didn t receive any attention from academia until at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in a century after he died. In 1902 Japanese Historian, Naka Michiyo(那珂通世) s introduction of 「Catalogue raisonné of Gosinrok, 考信錄解題」in 『Historical Magazine, 史學雜誌』allowed for the first time the discussion on academical value of this book, which later in 1932 also began to gain Chinese academic research with its translated version appeared in 『The Annals of the History, 史學年報』. In Korea the research of Choi-sul and his book, Gosinrokjeseo has been started far later than in China, focused on 『Susagosinrok』that demonstrates Confucius about his life and historical facts. Moreover based on through historical research, Choi-sul s creative opinion in 『Susagosinrok』has facilitated a must-read of this book for domestic researchers of Confucius and his renowned work 『Noneo』. There has been no academic research conducted about 『Maengjasasilrok』despite it is such a value as one of Choi-sul s prominent works with an in depth discussion of Mancius and his pupi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ccordingly to perform analytic identification of 『Maengjasasilrok』in terms of motives, system, composition, list, features from historical researcher s angles. The infinite affection for Mancius gave a birth to 『Maengjasasilrok』where Choi-sul classified his life according to period, deconstructing the text of 『Maengja』before categorizing and rearranging it. As a result, 『Maengja』, a rambling story about Mancius, was possibly reborn as 『Maengjasasilrok』including the facts clearly organized from his childhood to old age. What an innovative challenge by Choi-sul, truly distinct from existing annotations or historical researches about 『Maengja』. The method of historical research used in Choi-sul s 『Maengjasasilrok』is a positivist approach,(以經爲主論) which was also applied to expose technically the absurd biographical fictions such as 『Yeolneojeon』 and 『Hansiweijeon』 as well as to reveal the distortion of 『Maengja』 shown in 『Jeongukchek』and 『Shiji』. Choi-sul s compliments to Mancius is so special that he, quoting Han-yu, praises Mancius for his contribution to exclude heresy to preserve Chinese culture. For this reason, Choi made up his mind to criticize the pedantic scholars from Sung Dynasty who underestimated Mancius, ‘an advocate for Confucius’. It all the while indicates his philosophy emphasizing on scripture to maintain a persistent stance on the academia in pursuit of words in vain. Furthermore he expressed a matter of great interests in the students of Mancius and related writers who were ‘advocates for Mancius’. For the historical research, he extracted the whereabouts of these followers of Mancius appeared in 『Maengja』in order to classify them into four groups ranging from a high level of students including Akjeongja, Gongsonchu and Manjang to the unspecific people who may not be regarded conclusive students.

1. 머리말

2. 「맹자사실록」의 저술동기와 고증체계

3. 「맹자사실록」의 구성과 고증목록

4. 「맹자사실록」고증의 특징

5.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