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второе южнославянское влияние)의 관점에서 교회슬라브어로 작성된 최초의 필사완본 성경인 겐나지 성경(Геннадиевская Библия 1499 г.)의 사복음서에 나타난 정자법을 연구한다. 시기적으로 14세기 말에서 16세기에 거쳐 러시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한 언어개혁인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 아래 겐나지 성경 편찬자들이 제시하는 교회슬라브어의 정자법을 살펴본다. 우스펜스키 (Б.А.Успенский)는 본 개혁의 본질이 교회슬라브어의 ‘남슬라브어 복원’과 ‘비잔틴화’에 있음을 지적하였고, 갈첸코(М.Г.Гальченко)는 남슬라브어 복원의 정자법상의 개혁 항목을 총 14개로 분류하였다. 그리하여 언어학적으로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으로 인해 발생된 정자법상의 혁신내용은 그리스어 전통과 남슬라브어 전통의 2그룹으로 분류되며, 그리스어 전통(1)에 따라 5개, 남슬라브어 전통(2)에 따라 14개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1.1. 그리스어 알파벳 w,f,v,p 및 k의 사용; 1.2. 그리스어 표기 반영, 즉 нг 대신 гг, нк 대신 гк, мп 대신 мб으로 표기; 1.3. 행간기호의 사용: 찌뜰로, 빠에록, 강세기호의 사용; 1.4. 구두점 쉼표와 쌍반점의 사용; 1.5. 모음 앞 위치에서 i의 사용; 2.1. [ja]에 상응하는 а 쓰기; 2.2. *dj에 상응하는 жд (dж) 쓰기; 2.3. 경자음 단어말미 위치에서 ъ 대신 ь 쓰기; 2.4. 유음과 약화모음의 결합을 трът형으로 표기; 2.5. ё와의 비충음적 결합; 2.6. 자음 뒤 위치에서 u (ó) 쓰기; 2.7. [z]에 상응하는 s 쓰기; 2.8. [z]에 상응하는 Y 쓰기; 2.9. [’a]에 상응하는 ¸ 쓰기; 2.10. 어원에 의한, 또는 *u에 상응한 U의 사용; 2.11. 중앙불가리아식 유스(юс) 교체 현상; 2.12. ú 대신 U 쓰기: нU = нъ, но; 2.13. ъ³ 대신 ы 쓰기; 2.14. p, q, Y, r, e의 사용. 총 19개로 구성된 정자법 요소에 따라 겐나지 사복음서의 정자법을 살펴본 결과, 겐나지 문법학자들이 수용한 항목은 총 17개로 나타났다. 적용되지 않은 항목은 중앙불가리아식 유스 교체 현상(2.11.) 및 ъ 대신 U 쓰기(2.12.)로 총 2개에 불과하다. 겐나지 사복음서에 적용된 17개 항목들은 각각 수용된 정도의 차이가 나타나지만, 전반적으로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의 수용 정도를 객관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의 결과를 갈첸코가 정리한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의 수용등급표’와 대응해 본 결과, 겐나지 사복음서 정자법 체계의 제2차 남슬라브 영향의 수용 정도는 중상(中上) 단계와 상(上) 단계의 중간 위치로 나타난다.
1. Введение
2. 《Второе южнославянское влияние》 в лингвистическом аспекте
3. Признаки второго южнославянского влияния в ГБ
4. Заключен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