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대회자료
한국형 태풍영향평가를 위한 현장 맞춤형 강풍위험수준 평가
- 한국자료분석학회
- 한국자료분석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2021년 동계학술대회 발표집
- 2022.01
- 43 - 45 (3 pages)
본 연구에서는 태풍에 동반된 강풍으로부터 재산적 피해가 발생할, 사전에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태풍영향평가의 전국 단일화 기준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현장 맞춤형 강풍위험수준을 평가하고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가능한 최대피해액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장 최근인 2002~2019년 60개 영향태풍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 , 시범적으로 지역특성에 따른 피해를 살펴보고자, 서해안과 남동해안을 대표하는 서울과 부산 지역을 분석대상으로 지정하였다. 강풍위험수준 5단계(일반/관심/주의/경고/위험) 기준의 지역구별 비율 분포에 따르면, 부산에서 강한 풍속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주요 태풍별 강풍비교에서도 태풍특성에 따른 풍속 차이도 나타나겠지만, 비교적 부산 지역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이 와 더불어, 상위 5% 평균풍속에 대한 지역구별 가구당 최대피해액 결과에서는, 서울에서 피해액이 높게 산정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실제로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면, 시세에 기반한 피해가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했을 , 본 연구에서 고려한 근거자료가 지역에 따라 잘 구분되어 적 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를 향후 시행할 태풍영향평가에 적용한다면, 객관적이면서 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높은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Ⅰ. 서론
Ⅱ. 자료 및 분석방법
Ⅲ. 결과
Ⅳ.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