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직 근로자의 경력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Office Worker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2권 1호
- : KCI등재
- 2022.01
- 143 - 154 (12 pages)
목적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개발을 위해 경력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연구 대상은 국내 전체 산업체 근로자 수를 기준으로 상위 10개 산업군을 선발하고 그 중에서 5인 이상 기업에 재직 중인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직의도, 경력만족,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관한 설문도구를 바탕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최종 505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4. Program을 활용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최종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발달할수록 경력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경력에 만족하더라도 주도적으로 경력을 개발하려고 할 때 이직의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늘날 경력환경은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그 속에서 개인은 경력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자신의 경력에 만족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고용가능성을 개발하기 위해 개인은 조직 내부에서 자신의 직무를 확장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산업이나 직업으로 이동을 준비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신의 가치에 근거하여 주도적으로 경력을 개발하려는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함양하여 이직을 준비하고 새로운 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protean career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office worker.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505 participants working at the ten different industry sectors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5.0. Results Following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protean career attitude, and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turnover. Second, the higher office worker’ career satisfaction, the lower turnover intention. Third, a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Specifically, the value-driven attitude showed a moderating effect but the self-initiated attitude didn’t show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 that the higher office worker have protean career attitude, the higher turnover intention, even if you are satisfied with carrier.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in improving the personal career development as well as the employabili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