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부모의 소비가치가 영유아 비건화장품의 구매결정속성과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Z Generation’s Consumption Values on Determinant Attributes and Behavioral Intention to Purchase Vegan Cosmetics for Infants and Toddlers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2권 제4호
-
2021.1255 - 74 (20 pages)
-
DOI : 10.18693/jksba.2021.22.4.55
- 이용수 535

초록
The MZ Generation’s consumption values have continuously changed because of the expansion of vegan cosmetics for infants and toddlers, diverse circumstances and social effect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uch consumption values on determinant attributes and behavioral intention to purchase vegan cosmetics for infants and toddler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the MZ Generation in their 20-30s having a young child (3 years old or younger), who bought certified vegan cosmetics for infants and toddlers recently (6 months or less). A total of 2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August 3 to 14, 2021, and 267 copies excluding 3 poorly answered on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in the MZ Generation’s consumption values, increase in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terminant attributes to buy vegan cosmetics for infants and toddlers. Second, as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rose, behavioral intention to purchase vegan cosmetics for infants and toddlers became stronger. Third, determinant attributes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in buying vegan cosmetics for infants and toddlers. In other words, analysis on such determinant attributes would bring purchasing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examined determinant attributes to purchase vegan cosmetics for infants and toddlers depending on the MZ Generation’s consumption values and empirically analyzed their influence on purchasing behavior inten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helpful in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for such vegan cosmetic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3)
- 취업스트레스의 행동요인과 직업능력향상행동, 외모관리행동 간의 관계
- 뷰티산업 프랜차이즈의 내부마케팅이 직무만족, 직무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코스메슈티컬 기반 약물 전달형 마이크로 패치 시스템의 개발
- 퍼스널 컬러 자가진단과 관능평가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스파서비스의 인식과 프로그램 실태에 관한 연구
- 미용 전공 대학생의 비교과프로그램 참여시 개인의 환경적 요인과 참여 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학습 정서의 매개효과
- 앤디워홀 작품을 모티브로 한 네일 워터데칼 제작
- 미용실 노쇼(예약부도)로 인한 생산성 하락 대응방안 연구
- 한국 전통 매듭 패턴을 소재로 한 융합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 반영구화장 염료의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교육방안
- 퍼스널 컬러 기반의 헤어컬러 디자인 개발에 따른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 두피관리 행동과 맞춤형 화장품 인식 조사
- 헤어디자이너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톤 온 톤&톤 인 톤 배색기법을 적용한 헤어 디자인 작품 연구
- 전국기능경기대회 헤어디자인 과제분석
- 호미 바바(Homi K. Bhabha)의 ‘혼종성’이 투영된 디아스포라(Diaspora) 내면에 대한 바디아트 표현연구
- 코로나 19 상황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홈 뷰티기기 가치의식과 선택속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 부모의 소비가치가 영유아 비건화장품의 구매결정속성과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중매체압력에 나타난 신체불만족과 외모관리행동 간의 관계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2권 제4호 목차
-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메타인지와 잡크래프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미용종사자의 심리적 안녕감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