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437.jpg
KCI등재 학술저널

원발개방각녹내장 및 녹내장의증 환자에서 점안 안압하강제 사용이 각막생체역학인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ti-glaucoma Eyedrops on Corneal Hysteresis in Patients with Open-angle Glaucoma and Glaucoma-suspect

목적: 개방각녹내장 및 녹내장의증 환자에서 점안 안압하강제가 각막 생체역학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개방각녹내장 115명 225안, 녹내장의증 98명 128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Ocular response analyzer를 이용해 연구 대상자의 각막이력현상 수치를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선형 모형을 이용한 일반화된 추정 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각막이력현상 수치는 개방각녹내장군에서 녹내장의증군에 비해 낮았다(p<0.001). 개방각녹내장군에서 생체역학인자를 보정한 안압이 낮을수록, 베타-차단제 및 알파2-작용제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시야검사 mean deviation가 클수록, 중심각막두께가 두꺼울수록 각막이력현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개방각녹내장에서 베타-차단제 및 알파2-작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각막이력현상과 관련되어 있었다.

Purpose: We explored the effects of topical anti-glaucoma medications on the corneal biochemical properties of patients with open-angle glaucoma (OAG) and glaucoma suspect (GS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data on 115 OAG and 98 GS patients (225 and 128 eyes respectively). Corneal hysteresis (CH) was measured using an ocular response analyzer. Factors influencing CH were determined using a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Results: The mean CH was lower in OAG than GS patients (p < 0.001). A lower cornea-compensated intraocular pressure, concomitant use of a beta-adrenergic blocker and an alpha2-adrenergic agonist, a higher visual field mean deviation, and a larger central corneal thickness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CH in the OAG group. Conclusions: Concomitant use of a topical beta-adrenergic blocker and an alpha2-adrenergic agonist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CH.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