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에 관한 연구
Exercise Satisfaction and Exercise Flow in Elite Athetes
- 박철희(Churl-Hee Park) 정연택(Yeon-Teak Jeong) 최연재(Yeon-Jae Choi)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운동재활·복지
- 제2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1.12
- 21 - 28 (8 pages)
이 연구는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운동몰입과 운동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선수들의 몰입정도와 자신의 운동생활에 만족도가 있는지 파악하여 지도자들에게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참가자는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대학부와 실업팀 선수들이며 무선표집방법으로 표집하였다.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종목의 지도자분들에게 연락하여 사전에 허락을 받은 후 최종적으로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는 250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조사도구는 운동몰입과 운동만족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IBM SPS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설문지의 신뢰도 분석, 독립변인에 따라 T-test 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첫째,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운동몰입의 하위요인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운동만족에서는 사회승인만족과 선수생활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소속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만족에서는 선수생활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운동종목에 따른 운동몰입의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운동만족에서는 사회승인만족과 선수생활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leaders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elite athletes on their exercise commitment and satisfaction, and whether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level of immersion and their own sports lif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and business team players registered with the Korea Sports Association, and were sampled by a wireless sampling method. After contacting the leaders of the sports registered with the Korea Sports Council and obtaining permission in advance, 250 copies of the data analyzed in the final study were analyzed. The survey tools of this study were exercise immer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questionnaire. As the data processing method, IBM SPSS 25.0 program was used, an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frequency analysis, questionnaire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according to in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sub-factors of exercise commitment according to gender of elite athletes. In sports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approval satisfaction and athlete life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ffiliation of elite athletes. In sports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hlete life satisfac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immersion of elite athletes according to the sport. In sports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approval satisfaction and athlete life satisfac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