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 운동 시 압박 의류 착용이 지연성 근육통과 근 증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Wearing Compression Clothing before Resistance Exercise on DOMS and Muscle Enhances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운동재활·복지
- 제2권 제2호
-
2021.1211 - 20 (10 pages)
- 188
이 연구는 저항 운동 시 압박 의류 착용이 지연성 근육통과 근 증진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은 4개월 이내 운동경험이 없으며 건강에 이상이 없는 성인 남녀 8명으로 하였으며 각각 4명 씩 나누어 운동전과 운동 후에 압박스타킹을 착용하도록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지연성 근육통을 유발하기 위해 두 그룹 모두 점프 스쿼트, 런지, 사이드 스텝을 수행하게 하였으며, 수행 후 기간 별 통증, 부종, 고관절 가동범위, 체력 등을 측정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version 18.0 for Window)를 사용하였으며, 집단간 기간별 변화비교를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시행하였으며, 유의 수준 α=0.05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통증, 허벅지 둘레, 관절가동범위, 서전트 점프 모두에서 기간에 따른 유의차가 발생하였으나 압박의류 착용시기에 대한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압박의류의 착용은 통증완화와 관절가돔범위, 운동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나 운동수행 시 올바른 착용을 통해 부상을 방지하고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 상황에 맞는 올바른 사용이 중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in and edema, hip joint range of motion, and physical strength by wearing compression clothing before resistance movement for ordinary students who have never had regular exercise or training in the nervous and musculoskeletal systems of lower extremities for four months. Methods: Two groups of participants who wore compression stockings before and after exercise were compare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uses SPSS to compare the changes by period between groups, and implements the repeated measurement variance rule, and the significance level is set to α=.05.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elastic compression stockings are effective in relieving leg swelling and pain. Conclus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lower extremity swelling, pain, vertical jump, and ROM after wearing compression stocking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고찰
(0)
(0)